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인생'이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때까지의 삶"을 의미합니다. '내세'를 믿는 '종교'에서는 "인생은 잠시 살다 가는 나그네" 라고 말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인생의 종점'이 가까워진 '노년기'의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앞으로 어떻게 변(變)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됩니다. '러시아'의 '대문호'인'톨스토이의 '참회록(懺悔錄)'에는 아주 유명한 다음과 같은 '우화'가 있습니다. 한 '나그네' 가 '광야'를 지나다가 '사자'가 덤벼 들기에 이를 피하려고 부근에 있던 물이 없는 우물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마침 우물 아래쪽에 큰 뱀이 큰입을 벌리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우물 밑으로 내려갈수도 없고 우물 밖으로 나올수도 없는 '나그네'는 우물 안의 돌틈에서 자라난 조금만 '관목가지'에 매달립니다. 우물 내.외(內.外) 에는 자기를 기다리는 '적'(敵)이 있으니 얼마 지나지 않아 자기의 '생명'을 잃어버리게 되리라는 것을 잘 압니다. '나무가지'에 매달려 나무를 쳐다보니 '검은 쥐'와 '흰쥐' 두마리가 '나무가지'를 쓸고 있었습니다. 두손을 놓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은 '나무가지'가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자신감이 없고 열등감이 심한 사람 역시 먼저 사과할 수 없다. 그들에게는 자기의 과오를 인정하는 것만큼 끔찍한 일은 없다. 자기가 틀렸음을 인정하는 것은 곧 열등감을 재확인하는 일이기 때문에 결코 사과하지 않는다. 무책임한 사람 역시 과오를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는다. 내앞에 닥친일을 남에게 책임전갈 하지 말라 내가 할일 남이 할일이 따로 있다. 남에 일을 내가 도울일이 있다. 또 남이 내 일을 도울일도 따로 있다. 하지만 무조건 기대하거나 바라지 말라 공짜 바라는 심보는 옛말에 대머리 된다고 했다. 주고받는 서로에 공과사가 분명 있어야만 뒷말이 없다. 오고가는 베품과 사랑이 세상을 평화롭게 하며 행복하다 할 것이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이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등 살아 있는 생물과도 교감할 줄 알아야 한다. 입에 말이 적으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 말하고 싶은 충동을 참을 수있어야 한다. 생각을 전부 말해 버리면 말의 의미가 말의 무게가 여물지 않는다. 말의 무게가 없는 언어는 상대방에게 메아리가 없다. 말의 의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무생(無生)의 삶을 이룩하고 해탈(解脫)의 위신력(威神力)을 갖춘 분이 오늘 진리(眞理)의 현신(現身)으로 우리곁에 오셔서 범부(凡夫)를 고쳐 성인(聖人)을 이루는 우레 같은 할(喝)을 하니 비로(毘盧)의 바다가 뒤집히고 생각마다 미륵(彌勒)이 하생(下生)합니다. 곳곳에서 진리(眞理)의 현관(玄關)이 열려 중생(衆生)을 깨우치는 사자후(獅子吼)가 쏟아지고 자문(慈門)이 열려 중생(衆生)을 요익(饒益)케 하는 무외시(無畏施)가 넘칩니다. 새들은 환희(歡喜)에 젖어 생멸(生滅)없는 무생가(無生歌)를 노래하고 석녀(石女)는 줄없는 거문고로 틀 밖의 소식을 전하니 두두물물(頭頭物物)은 불조대기(佛祖大機)를 풀어내고 범성(凡聖)은 본래면목(本來面目)을 통해 차별 없는 일미(一味)를 이룹니다. 삼라만상(森羅萬象)은 일기일경(一機一境)을 통(通)해 진리(眞理)의 모습을 드러내고 여러분 앞에 시종(始終)없는 빛을 놓고 있습니다. 자성(自性)을 통(通)해 무생(無生)의 면목(面目)을 깨달은 분은 고통에서 벗어나는 해탈(解脫)과 안락(安樂)을 얻을 것이요 탐욕(貪慾)속에 자리하고 있는 이타적(利他的)덕성(德性)을 깨달은 분은 함께 아파하고 치유하는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문화재청은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진우 스님), 사단법인 성보문화재연구원(원장 현문 스님)과 함께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의 2022년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은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복원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작됐다. 문화재청은 매년 대형불화의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와 보존 현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정밀조사 보고서를 발간해 왔으며, 이번이 여덟 번째 결과물이다. 지난해 조사한 괘불도는 ▲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보물) 등 총 6건이다. 조사 결과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문양 및 장신구 등에서 금박과 함께 많은 은박이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간 일부 괘불도에서 은박이 한정적으로 사용된 것은 확인됐으나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경우 특히 사용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서울시는 '2023 연등회' 행사 개최에 따라 5월 20일 13:00~5월 21일 03:00까지 세종대로 사거리~흥인지문, 장충단로 등 서울시내 주요 도로에 단계별 차량 통행을 진행한다. '2023 연등회'가 5월 20일~5월 21일 양일간, 서울 조계사 우정국로와 종로 일대에서 개최된다. '연등회'는 2012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행사다. 2020년에는 그 역사성과 특수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전통등 전시회(광화문광장 일대)’, ‘어울림마당(동국대)’, ‘연등행렬(종로 일대)’, ‘회향한마당(종각사거리)’등 서울 시내 주요 거점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연등회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약 1,200년간 이어져 내려온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이자 등축제다. 2012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됐으며,'연등회보존위원회'에서 연등회 개최는 물론, 전승교육을 맡아 전통등 제작 강습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등 연등회의 전승과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 연등회'의 주요 행사인 ‘연등행렬’은 5월 20일 18:00~21:00, 동국대학교를 시작으로 흥인지문,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이세상에 인연따라 잠시 왔다가 인생살이 마치고 나면 그 누구 할것없이 다 그렇게 떠 나야 하는 삶이 아니던가요. 냇물이 흘러 강으로 가듯이 우리네 인생도 물 흐르듯 돌고 돌다 어느 순간 멈추어지면 빈손으로 베옷 한벌 입고 떠나야하는 삶이 아니던가요? 여보시오! 나그네님들.. 부모님의 초대를 받고 이 세상에 왔지만 이생에 인연이 더하면 돌아가야 하는 법이거늘 길어야 100년 잠시 살다가는 인생 서로 사랑하며 살아가요! 몇백년 사는 인생이라면 이별도 해보고 미워도 해보고 살아 보겠지만 이 땅에서 한번 나면 두번 다시 못볼 인연이 아니던가요? 여보시요! 나그네님들.. 세월이 어렴풋이 흘러간 뒤에 그리워 한들 무슨 소용 있겠습니까? 사랑하는 인연이 있다면 더 많이 사랑해 주고 비로소 꿈을 깨는 날 숨이 막힐듯 저려왔던 외로움 조차 모두 버리고 떠나가야 하지 않던가요, 이제부터라도 하고픈것 다하고 먹고 싶은 것 다먹고 가보고 싶은곳 다 가보면서 즐겁게 살아가요, -꿈꾸다 가는 인생-中-펌- ㅡ승소ㅡ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리는 몸에 대해 너무 무지할 뿐 아니라 자기의 건강 관리를 의사 등 전문가에게 외주 주고 평소에는 신경을 끊는다. 하지만 이는 권장할만한 방법이 아니다. 건강하고 싶은가? 몸에 대해 공부하라. 그게 정말 나 자신을 사랑하는 길이다. 이 몸은 내가 관리 하고 내가 스스로 지킨다 내 마음도 내가 잘 닦아 내가 스스로 지킨다 내가 노력해서 번 돈이든 부모 유산이든 내가 스스로 지킨다 모든것은 내 몫이니 무엇이 잘못 되더라도 내 탓이다. 어쩌다가 세상이 이 모양 이꼴이 되어 가는지 돈 잘벌때는 세금 적게내고 안낼려고 이핑계 저핑계 꼼수 부리고뭐든지 지가 한 일도 잘못되면 나랏님 탓 누구 탓 남 탓만 하는 현실이다. 땅살때 집살때 전 월세 들때 나랏님 정부에 신고하고 물어보고 샀느냐 놀러갈때 나랏님 정부에 보고하고 놀러 갔느냐 놀러가다 죽었는데 그게 누구 탓이냐 국민들이 피땀흘려 번돈 세금 냈는데 그 돈으로 나라 지키다 죽은것도 아니고 정의로운 일 하다가 죽은것도 아닌데 보상 해달라 특별법 만들라 책임자 처벌하라 추모관 만들라 미친세상 아닌가 벌떼같이 대들고 억지쓰며 힘으로 국가존립 흔드는 무책임한 무리들 공심 의협심 의무감은 사라지고 국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불기2567년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만복을 선사하는 전시회가 열린다. 대구 수성 호텔 1층에서 6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열린다. 달성군의 혜명사 주지 혜선스님의 첫 전시회로, 그간의 참선과 회향의 결과물을 모은 모란꽃은 부귀와 명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부귀화(꽃)로 불린다. 혜선 스님은 작품 `목단`과 `금목단`등 화목과 부귀길상을 그림으로 형상화하는 작품을 그려왔다. 그는 "목단꽃은 부귀와 길상이라 해 부를 상징하는 꽃으로 사찰이나 부잣집에서만 볼 수 있는 상징적인 꽃이다. 그는 주로 새벽 조용한 시간에 참선으로 마음의 화두를 생각하며, 작품을 그려나간다. 그림이 도를 통하고 부처님의 법향이 두루 퍼져 불국토가 널리 전파되는 것을 기원하며, 정성을 담아 그림을 그리다 보면 어느새 삼매경에 빠지게 된다. 평소 불자에게 회향하는 마음으로 그림을 나눠주던 혜선 스님은 성도의 집이 좋은 기운으로 가득해 어두웠던 인생길이 환해지기를 항상 기원한다고 말한다. 혜선 스님은 17여 년 전, 꿈속에서 동자승이 빨간 꽃을 준 것을 깊이 새겨 출가를 하게 됐다. 그림도 그 꿈을 생각하며 중생에게 나눔을 실천하고 싶은 마음이 커 그들의 복록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사람은 믿음과 함께 젊어지고 의심과 함께 늙어갑니다. 사람은 자신감과 함께 젊어지고 두려움과 함께 늙어갑니다. 사람은 희망이 있으면 젊어지고 실망이 있으면 늙어갑니다. 우리의 삶이 다른사람에게 얽매어 좌우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나를 비우니 행복하고 나를 낮추니 모든것이 아름답습니다. 행복은 결코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행복은 언제나 내 마음속에 있습니다. 오늘도 건강하시고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좋은 글- 中에서-펌- ㅡ승소ㅡ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분노의 가장 부정적인 측면 중 하나는 그것이 처음에는 다른 누군가를 겨냥한 것이지만결국 당사자를 해친다는 점이다. 분노는 酸과 같아서 산이 뿌려지는 대상보다 산을 담고있는 그릇에 더욱 큰 해를 끼칠 수 있다. 날씨가 흐리고 맑다고 마음까지 따라 변덕 부리지 말라! 잔잔했던 바닷물이 파도에 출렁인다 하여 내 마음도 따라 출렁이면 사고난다. 주관과 객관을 잘 알고 모든일에 임하라. 본론을 흐리게 하는 파수꾼은 주관이 없는 사람이다. 그렇다 하여 남이 하는 말에 주관이 흔들려 갈팡질팡 한다면 주관도 객관도 없는 줏때없는 사람이다. 바람에 나뭇잎 열매는 흔들리고 떨어지더라도 나뭇가지 몸통 뿌리는 잘 견디고 건재해야 한다. 집 무너진다고 하늘까지 내려 앉으면 되겠는가 정신차려 삽시다. 성공과 실패는 분노의 영향 아래서는 결코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지혜와 지성에 달려 있다. 용기나 결단력이 있다면 두려움이 점점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 좌절감과 분노도 줄어들 것이다.
오는 19일 막이 오르는 '장성 황룡강 洪(홍)길동무 꽃길축제'에 남도음식과 전통음악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전남 장성군은 축제기간 중 '남도음식영화토크쇼'와 '제44회 남도국악제'를 연다. 먼저, 19일 오후 3시 장성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리는 '남도음식영화토크쇼'는 음식을 주제로 한 단편영화 상영과 남도음식 전문가 토크쇼로 구성된다. 함께 볼 영화는 ▲정관스님의 사찰음식과 삶 ▲살사 및 잡채 ▲다윈이 식탁에 앉는다면 ▲핀란드의 맥주 마스터 총 4편이다. 서울국제음식영화제에 소개됐던 작품들로 편당 10∼30분 정도라 부담 없이 감상할 수 있다. 영화가 끝나면 남도음식을 주제로 한 토크쇼가 이어진다. '음식 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관장과 김현진 남도전통음식문화연구원장, 황혜림 서울국제음식영화제 프로그래머가 모여앉아 음식과 영화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참여 문의는 장성군 농업유통과로 하면 된다. '제44회 남도국악제'는 19일과 20일 양일간 펼쳐진다. 1979년 시작된 남도국악제는 매년 1200명이 넘는 전남 국악인들이 한자리에서 경연과 대동한마당 등을 펼치는 신명 나는 전통음악 축제다. 올해는 한국국악
거창군은 지난 16일 군청 중회의실에서 여성친화도시 조성의 밑거름인 2023년 제1회 여성안전도시 T/F와 제1회 여성일자리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여성안전도시 T/F는 안전 관련 부서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협업으로 여성안전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운영 중이며 신동범 행복나눔과장을 팀장으로 거창경찰서, 군민참여단, 여성단체협의회, 죽전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등 9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부서별 관련 사업인 ▲셉테드(범죄예방환경설계) 기법 도입 안심골목길 조성 사업 ▲주거 안심 파트너 사업 ▲도시구역 내 보행자 안전도로 개설 사업에 대해 공유하고 지역사회 안전증진을 위한 사업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개최된 여성일자리협의체는 일자리사업과 관련된 부서와 민간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돼 2023년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여성일자리 분야 사업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개선방안 및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거창군은 여성일자리 발굴과 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촉진 및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해 ▲결혼이민자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거창군 여성 일자리 현황 및 실태조사 연구 용역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성이 경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의 미술상황은 기존에 해왔던 시각상의 논리의 감수성과 사고를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는 미술에서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모든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회학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오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세계관의 대두를 의미하며 문명과 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입장에서의 관점에서 전환을 뜻하고 있다. 현재 미술계는 그동안의 국내를 벗어나 세계속의 K ART를 향하여 변하여 더 도약하려고 하고 있으며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동안 다양성과 다변화를 주도하고 선도해 온 세계평화미술대전이 올해 새로운 집행부를 구성하여 서로 공존하며, 이 시대의 의미 있는 다양성 들을 추구하고 있는 우수한 작가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박철규 운영위원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과 큰 울림으로 올해 세계평화미술대전을 함께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창작의 열정과 작품으로 함께 꿈을 펼쳐나갈 작가들과 한국미술을 이끌어 갈 준비가 되어 있으며, 한국 미술시장의 중심에 서서, 한국 미술인 동시대 세계 문화 속에서 어떻게 어우러지고 성장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밟혔다. 이재화 대회장은 인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일붕一鵬 서경보徐京保 초대법왕初代法王[1914~1996]은 한국의 승려이자 불교학자로 서 법명은 일붕一鵬이다. 제주도 서귀포에서 출생. 1932년 제주 산방굴사[현광명사]에서 출가하여 구례 화엄사華嚴寺, 완주 위봉사威鳳寺, 서울 개운사開運寺등에서 공부했다. 1944년 일본에 가서 교토京都의 임제종 임제전문학교臨濟專門學校에서 수학했다. 귀국 후 다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 입학하여 1950년 졸업했다. 1953년 해인대학(지금의 경남대학교)을 비롯하여 동아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해외포교에 주력하는 한편, 제4공화국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제5공화국의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참가했다. 1988년에는 조계종에서 갈라져 나와 대한불교 일붕선교종一鵬禪敎宗을 새로 설립하고 종정宗正에 올랐으며, 1992년에는 세계불교법왕청을 설립하고 초대 법왕이 되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불교성전佛敎聖典, 불교사상교양전집과 서경보인생론전집, 논문집으로는 미국 템폴대학교에서 받은 박사학위논문 조당집연구 등이 있다. 일붕스님은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여받았으며, 1995년과 1996년에 2년 연속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
인천 미추홀구 숭의목공예센터는 16일 옥상 별빛정원 개소식을 개최했다. 옥상 별빛정원은 제물포역 일원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선정에 따라 조성된 공간이다. 지난해 11월 설계용역을 시작으로 지난달 말 공사를 완료해 개소 준비를 마쳤다. 유휴 옥상 공간에 정원을 조성해 주민 휴식 공간 외에도 영상 스크린을 별도로 설치해 영화제, 주민·청소년 문화공간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개소식에는 이영훈 미추홀구청장, 구의원, 관계 공무원, 숭의목공예센터 인근 목공예 상인과 지역주민 등이 참석했으며 제1회 별빛정원 영화제 행사와도 연계해 진행돼 참석자를 대상으로 영화 '리틀포레스트'를 상영했다. 숭의목공예센터는 이후 별빛정원 영화제, 목공예 이벤트 프로그램을 월 1∼2회 운영할 계획이며 옥상 공간을 각종 기관 및 시설에 대관해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구 관계자는 "이번 별빛정원 조성을 통해 숭의목공예센터를 더 많은 주민들에게 알리고 목재 문화 확산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