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마음 그릇을 정돈하라, 감로를 흘리지 말라” 파도가 뒤엉키면 달빛은 물 위에 비치기 어렵고, 밤이 깊을수록 등불은 더욱 밝게 빛납니다. 어둠이 짙을수록, 작은 빛도 위대한 길잡이가 되지요. 그대여, 복잡한 세상살이 속에서 마음이 흔들릴 때, 우리는 더욱 고요함을 지녀야 합니다. 거칠고 어지러운 감정이 일렁이면 지혜와 자비의 달빛은 비칠 틈이 없습니다. 마음의 그릇을 잘 정돈하십시오. 그 그릇이 기울면 아무리 귀한 감로수라도 쏟아지고 맙니다. 감로는 부처님의 가르침이요, 참된 삶의 자양분입니다. 그릇이 안정되면, 삶의 작은 순간마다 감로가 고이듯 맑게 머물게 될 것입니다. 오늘도 삶의 바다를 항해하는 여러분, 파도를 두려워하지 말고 마음의 닻을 고요에 내리십시오. 그러면 등불은 더욱 밝아지고, 달은 물 위에 은은히 피어날 것입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글 / 청운법사 | “이 길이 맞는 걸까?” “나는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걸까?” 누구나 한 번쯤 스스로에게 묻는다. 특히 수행과 믿음의 길을 걷는 이라면 더욱 그렇다. 이럴 때 우리에게 큰 위안을 주는 말씀이 있으니, 바로 『법화경法華經』의 핵심 사상인 “개삼현일開三顯一”이다. 이는 곧 세 가지 길을 열어 하나의 진실을 드러낸다는 뜻이다. 부처님께서는 중생의 근기와 성향이 제각기 다름을 알고, 그에 따라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이라는 세 가지 수행의 길을 제시하셨다. 그러나 그 모든 길의 궁극은 단 하나, 불승佛乘이었다. 목적지는 같되, 각자의 길이 다를 뿐이라는 이 가르침은 오늘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성문은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성聲)’ 수행하여 괴로움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이들이다. 오늘날로 말하면 명상을 통해 심리적 고통을 다스리려 하거나, 계율을 지키며 평온한 삶을 지향하는 이들이라 할 수 있다. 이 길은 자기 구원의 길이다. 때론 ‘이기적’이라는 오해도 받지만, 그 또한 수행의 문을 통과하는 하나의 과정임을 『법화경』은 인정하고 품어낸다. 연각은 부처 없이도 자연과 인생의 무상함을 통찰해 스스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옛날 어느 마을에 장사를 하던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큰 부자였지만, 그가 자라날 무렵에는 몰락하여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그 탓에 그의 친척들이나 친구들은 그를 외면하고, 오히려 업신여기며 멸시하기까지 했습니다. 결국 그는 고향을 떠나, 낯선 지방으로 가서 새 삶을 살기 시작했습니다. 몇 년이 지나 그는 부지런히 노력한 끝에 큰 부자가 되었고,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오기로 결심했습니다. 그 소식이 마을에 퍼지자, 예전의 냉대가 무색하게도 친척들과 옛 친구들이 너도나도 앞다투어 그를 영접하겠다며 길거리로 몰려나왔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들의 속내를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누더기 옷을 입고, 마치 가난하던 시절처럼 평범한 모습으로 행렬 맨 뒤에 섞여 걸어갔습니다. 누구도 그가 주인공일 것이라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친척들과 친구들은 맨 앞에서 걸어오는 사람을 보고 물었습니다. “여보세요, 큰 부자가 되어 돌아온 쇼카바타님은 어디 계십니까?” 그러자 쇼카바타는 시치미를 떼고 대답했습니다. “아, 저 뒤쪽에 오고 계십니다.” 사람들은 다시 행렬의 맨 뒤에 있는 사람에게 물었습니다. “쇼카바타는 어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글, 청운 삼장전법사 | 오늘날 한국 사회는 겉보기에는 풍요롭지만, 보이지 않는 어둠을 안고 있다. 물질은 넘쳐나지만 마음은 고립되어 있고, 기술은 발전했지만 인간관계는 더욱 소원해졌다. 지식은 넘치지만, 지혜와 연민은 희소한 시대이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는 되묻는다. “과연 누가 우리를 진심으로 이끌 수 있는가?” 이 물음 앞에 우리는 조사祖師의 존재와 증도證道의 의미를 다시 떠올리게 된다. 조사란 누구인가? 깨달음을 실천으로 증명한 사람, 불교에서 말하는 조사는 단순한 계보의 계승자가 아니다. 진리를 깨닫고, 그것을 삶 속에서 실천으로 증명한 사람, 그리고 그 깨달음을 자비와 광명으로 전한 존재이다. 조사의 증도는 머리로만 얻은 앎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실천되고 증명되는 깨달음이다. 말로 가르치기보다 행동으로 보여주고, 교리의 반복보다 마음의 공감으로 중생과 마주하는 삶, 바로 그것이 증도의 길이다. 자비는 가장 낮은 자리로 향하는 실천이다. 불교 수행의 핵심은 자비이며, 진정한 조사는 자비심을 가장 낮은 자리로 이끄는 사람이다. 한 선방의 원로 스님은 자신의 정진보다 먼저 노숙인들에게 따뜻한 공양을 내주고, 고통 속에 방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