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사생四生은 모든 생명체가 네 가지 방식으로 태어난다는 불교의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육도六度는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실천하는 여섯 가지 덕목을 뜻합니다. 이 두 개념은 불교의 윤회와 수행의 중요한 부분을 설명합니다. 1. 사생四生 사생은 생명체의 태어나는 방식을 네 가지로 분류한 것입니다. 태생胎生: 자궁에서 태어나는 생명체. 인간과 포유동물이 이에 해당합니다. 난생卵生: 알에서 태어나는 생명체. 조류, 파충류, 어류 등이 이에 속합니다. 습생濕生: 습한 곳에서 태어나는 생명체. 곤충이나 기생충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화생化生: 변화하여 태어나는 생명체. 이는 중음 신이나 천신, 지옥 중생과 같은 특별한 존재들을 가리킵니다. 2. 육도六度 육도는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실천하는 여섯 가지 덕목입니다. 보시布施: 아낌없이 주는 것.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무형의 자비와 사랑도 포함됩니다. 지계持戒: 도덕적 규율을 지키는 것. 올바른 행동과 마음가짐을 유지합니다. 인욕忍辱: 인내와 참을성. 어려움과 고통, 비난을 견디는 힘을 기릅니다. 정진精進: 끊임없는 노력. 수행과 공부에 힘쓰며 게으르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영문 외교저널 7월호 발간 책자 JPG로 전체보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시방세계十方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모든 방향과 모든 세계를 포괄하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방세계는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동남東南, 서남西南, 동북東北, 서북西北, 상上, 하下의 열 가지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불교의 포괄적인 우주관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시방세계의 개념을 통해 불교는 모든 존재와 세계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가르칩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시방세계十方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모든 방향과 모든 세계를 포괄하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방세계는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동남東南, 서남西南, 동북東北, 서북西北, 상上, 하下의 열 가지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불교의 포괄적인 우주관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시방세계의 개념을 통해 불교는 모든 존재와 세계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가르칩니다. 시방세계十方世界의 의미 시방: 열 가지 방향을 의미하며, 동서남북 사방과 그 사이의 네 방향, 그리고 상하를 합쳐 총 열 방향을 뜻합니다. 세계: 무수히 많은 세계와 우주를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의 세계를 넘어 무한히 확장된 공간과 시간을 포함합니다. 시방세계의 철학적 배경 연기법緣起法: 시방세계는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며, 독립된 실체가 없다는 연기법의 원리를 반영합니다. 이는 모든 세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포괄적인 우주관: 시방세계는 불교의 우주관을 나타내며, 이는 우리가 사는 세상뿐만 아니라 무수한 다른 세계와 차원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무한한 자비: 부처님의 자비는 시방세계의 모든 존재에게 미치며, 이를 통해 모든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반야般若는 지혜를 의미하며, 불교에서 최고의 지혜를 뜻한다. 이 지혜는 단순한 지식이나 논리적 이해를 넘어서, 궁극적인 진리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반야의 지혜를 통해 우리는 모든 고통과 번뇌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첫째, 반야의 지혜는 무지에서 벗어나게 한다. 우리 대부분은 무지 속에서 살고 있다. 무지는 우리를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고통과 번뇌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반야의 지혜를 통해 우리는 사물의 진정한 본질을 깨닫게 되며, 무지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우리의 마음은 맑아지고, 고요해진다. 둘째, 반야의 지혜는 연기緣起의 법을 이해하게 한다. 연기란 모든 현상이 서로 의존하며 일어난다는 불교의 근본 교리이다. 반야의 지혜로 우리는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되며, 이로 인해 우리는 더욱 자비롭고, 상호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우리는 자신과 타인이 본질에서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어, 서로를 사랑하고 배려하게 된다. 셋째, 반야의 지혜는 참된 자유를 얻게 된다. 우리는 여러 가지 집착과 욕망으로 인해 고통받는다. 그러나 반야의 지혜를 통해 우리는 모든 집착과 욕망이 무상하고, 실체가 없음을 깨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늘은 ‘복혜양족존福慧兩足尊’이라는 깊은 법문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불교의 중요한 교리 중 하나로, 복과 지혜의 완전한 조화를 이루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복혜양족존’은 우리가 신앙의 길을 걸으며 추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와 목표를 제시합니다. 영상출처-본지 자매 유튜브 불교연합방송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우란분재盂蘭盆齋는 불교에서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조상의 넋을 기리고 선망先亡한 이들의 명복을 비는 의식입니다. 우란분재의 유래, 의미, 그리고 의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란분재盂蘭盆齋의 유래 우란분재의 유래는《우란분경盂蘭盆經》에 나오는 목련존자目連尊者의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목련존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한 명으로, 신통력이 매우 뛰어났습니다. 다음은 이 경전에 나오는 주요 이야기입니다. 동영상 목련존자의 효심: 목련존자는 돌아가신 어머니가 아귀餓鬼의 상태에서 고통받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아귀는 매우 굶주리고 목마른 상태에서 고통받는 존재로, 업에 의해 그런 상태에 처하게 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목련존자는 어머니를 구제하기 위해 부처님께 도움을 청했습니다. 부처님은 안거安居가 끝나는 날에 스님들에게 공양을 올리고, 그 공덕을 어머니에게 회향回向하라고 가르쳤습니다. 어머니의 구제: 목련존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랐고, 그 공덕으로 어머니는 아귀의 고통에서 벗어나 다시 태어날 수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된 우란분재는 불교에서 조상의 명복을 비는 중요한 의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우란분재의 의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깊은 산속 초암앞에 흐르는 시냇물, 지저귀는 종달새의 노랫소리. 바람 따라 춤추는 나뭇잎, 고요한 숲의 아침이여. 이곳은 세상의 소란을 멀리한, 평온한 자연의 안식처. 맑은 물결이 속삭이는 이야기, 푸른 하늘 아래 펼쳐지는 꿈. 종달새는 자유로이 날고, 시냇물은 부드럽게 흘러가며, 우리의 마음도 함께 떠오르네, 자연의 품 안에서 다시 태어나리. 초록의 향기 가득한 이곳, 행복의 순간이 영원히 머물길. 깊은 산속 초암앞에, 고요한 아름다움이여, 영원하라.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불교의 깊은 교리 중 하나인 ‘무명무상無名無相’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이 개념은 불교의 본질적인 깨달음과 자유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가르침입니다. 1. 무명無名의 의미 ‘무명(無名)’은 문자 그대로 ‘이름이 없음’ 또는 ‘무명(無名)’을 뜻합니다. 이 개념은 세상의 모든 것이 본질에서 이름이나 개념 때문에 제한되지 않고, 우리가 붙이는 명칭이나 구별이 본래의 실체를 표현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는 ‘무명’이란 우리의 무지, 즉 진리나 실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자주 사물의 외적인 모습이나 개념에 집착하며, 이로 인해 진정한 본질을 보지 못하게 됩니다. 무명은 이처럼 우리의 마음이 실제와는 다른 이름과 개념에 얽매여 있음을 나타냅니다. 2. 무상無相의 의미 ‘무상無相’은 ‘모양이 없음’ 또는 ‘형상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든 존재가 고정된 형태를 가지지 않으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사물은 지속해서 변화하며, 우리가 지각하는 모양이나 형상은 실체가 아니라 단지 임시적 현상일 뿐입니다. 무상은 또한 우리의 마음속에서 형성되는 개념이나 감정이 실체가 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AI동영상 일정스님 범문 ”보시布施의 참뜻“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우리가 사는 이 우주와 자연계,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근본적인 진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흔히 자연계와 우주의 모든 것이 어떻게 존재하고, 무엇이 그것들을 하나로 묶는지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불교의 깊은 가르침 속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불성佛性'이라는 개념입니다. 1. 우주와 자연의 본질 우리가 보는 자연계와 우주에는 수많은 힘과 지식, 의지와 형태가 존재합니다. 이는 모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근본적으로 하나의 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力: 우주와 자연을 움직이는 다양한 힘들이 존재합니다. 중력, 전자기력, 핵력 등 물리적인 힘뿐만 아니라, 생명력을 움직이는 에너지와 힘도 존재합니다. 지식知: 자연계와 우주에는 지혜와 지식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는 만물의 질서와 조화, 생명체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 등에서 드러납니다. 의지意: 모든 존재는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명의 생존과 번영, 그리고 진화를 이끄는 동력이 됩니다. 형태體: 모든 존재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우주와 자연계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보여줍니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사단법인 대한불교종단협의회(“이하=불교협의회”) 산하 불교대학에서는 지난 6월 13일 인천 보명사 대법당에서 법사과 재학생 4명이 선발되어 동 불교대학 이사장, 총장, 학장, 지도교수, 증명법사, 신도 등이 동참한 가운데 제1회 설법대회를 봉행했다. 이날 설법대회에서 대학총장 이치란 박사(보검대종사)는 “불교협의회 불교대학은 사회지도자 도제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 교육이라”면서 “이번에 문을 여는 불교대학 법사과는 부처님 가르침의 정수와 함께 선명상과 불교전문 철학을 배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선명상 개발 보급을 통해 정신문명을 선도하고 현대인의 마음을 치유하며 정신건강을 돌보는 방법을 제시하는 교육 방향에 대해서 범 불교계와 신도들은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불교 대학장 월성 대종사는 “법사과 재학생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의 핵심인 인연 법과 연기법, 중도 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에서 육 바라 밀을 실천하면 분별심이 사라져 업장이 소멸하는 교육과정을 충실히 실천하고 있다”라면서 “분별심을 버리는 것은 결국 중도사상을 얻는 것으로 중도를 통해 이해타산과 행복과 불행의 양극단이 아닌 편안함을 깨달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구담불광선유포瞿曇佛廣宣流布"는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구담, 瞿曇)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절은 불교의 진리를 세상 곳곳에 퍼뜨리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1. 구담불瞿曇佛: 석가모니부처님을 의미하며, 깨달음을 얻은 존재로서 진리를 전파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2.광선廣宣: 널리 알리고 퍼뜨린다는 뜻으로, 불교의 가르침이 국경과 문화, 인종을 초월하여 전파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 유포流布: 흐르고 퍼진다는 의미로, 불법佛法이 물처럼 자연스럽게 모든 곳에 스며들어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말하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 구담불광선유포의 이미지로는 맑은 샘물처럼 불법이 널리 퍼져나가 사람들의 마음을 정화하고, 어둠을 밝히는 등불처럼 지혜를 제공하는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의미와 가치 1. 보편성: 불법은 특정 집단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존재에게 열려져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2. 자비와 지혜: 석가모니처님의 가르침은 자비와 지혜를 통해 중생을 깨우치고 구제하는 데 중점을 두고있다. 3. 영향력: 불교의 가르침이 사회, 문화, 개인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 낸다. "구담불광선유포"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일용호호시日用浩浩時”라는 구절을 중심으로, 우리의 일상 속에서 어떻게 풍요로움을 발견하고 실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구절은 우리의 매일매일의 삶에서 느낄 수 있는 무궁무진한 풍요와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1. 일용호호시, 일상 속의 무궁무진함 ‘일용호호시’는 매일의 일상 속에서 겪는 풍요롭고 넉넉한 시간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일용’은 ‘매일의’, ‘호호시’는 ‘광대하고 넉넉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의 매일매일이 그 자체로 풍요롭고 의미 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상의 풍요로움: 우리의 일상은 단순히 반복적인 하루하루가 아니라,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풍요로움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은 우리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의 가치를 인식하기: 우리는 종종 미래에 대한 염려나 과거의 회상에 매몰되어 현재의 가치를 놓치곤 합니다. 그러나 ‘일용호호시’를 통해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고, 매일의 순간이 지닌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일상 속 실천, 매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방법 ‘일용호호시’를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생과 사의 진리인 ‘생존하래 사향하거生從何來 死向何去’라는 깊은 질문을 중심으로 생과 사의 진리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이 질문은 우리의 존재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1. 생의 기원: 생존하래生從何來 ‘생존하래’는 우리의 삶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은 우리 존재의 근본적인 출처와 생명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생의 근원: 우리의 생명은 어디에서 왔는가? 이는 단순한 생물학적 질문을 넘어서, 우리의 존재가 우주와 자연, 그리고 인연의 법칙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하는 질문입니다. 불교에서는 생명이 끊임없이 윤회하며 인연의 법칙에 따라 이어진다고 가르칩니다. 존재의 본질: 우리의 생명은 단지 육체적인 출발점만이 아니라, 정신적이고 영적인 차원에서도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의 존재는 단순히 물리적인 시작이 아니라, 인연과 행위, 마음의 작용에 의해 형성됩니다. 2. 사의 귀향: 사향하거死向何去 ‘사향하거’는 우리가 죽음 이후 어디로 가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이는 우리의 삶과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질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