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2023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의정부 최초의 산림휴양시설인 '자일동 산림욕장'을 조성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자일동 산림욕장은 현충탑 주변 자일동 산87번지에 17만4천 792㎡ 면적으로 조성된다. 산림욕장이란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산림 안에서 맑은 공기를 호흡하고 접촉하며 산책 및 체력단련 등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림이다. 전국에 218개소, 경기도에 42개소가 있으나 의정부에는 지금까지 한 곳도 없었다. 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산림휴양 수요와 산림복지 서비스에 대한 시민 요구를 적극 해결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의 수많은 법적 제한사항을 극복했다. 전체 시 면적의 58%에 달하는 산림을 활용해 시민 휴식 문화공간으로 제공하고자 2021년부터 사업 추진 타당성을 검토했으며 지난해 10월 경기도로부터 산림욕장 조성계획 승인을 받았다. 자일동 산림욕장 조성사업은 총사업비 16억5천만 원이 투입되며 경기도로부터 5억 원의 특별조정교부금을 교부 받아 현재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자연친화적 숲길, 수국정원, 목공체험장, 쉼터, 화장실 및 주차장 등의 관리시설을 조성할 계획이
포천시는 지난 10일, 11일 이틀간 포천을 대표하는 문화재인 사적 포천 반월성을 활용하고 알리기 위한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인 '포천 반월성 역사문화 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천 반월성 역사문화 축제는 반월산 정상에 위치한 사적 '포천 반월성'의 역사적 가치와 고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시대별 스토리를 발굴하고 콘텐츠로 개발해 반월성의 문화유산적 의미를 확보하기 위한 문화재 활용 사업이다. 백영현 포천시장의 민선 8기 공약사업인 '청성산 종합개발 사업'과 발맞춰 시민이 문화재 유적에 직접 방문해 지역 문화재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해 진행된 이번 행사는 ▲반월성을 '누비다' ▲반월성을 '탐하다' ▲반월성을 '즐기다' ▲반월성을 '지키다' 총 4개의 테마로 이뤄졌다. 이틀간 약 1천여 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여해 포천의 문화재를 알아가는 시간이 됐다. 시 관계자는 "포천 반월성 역사문화 축제를 통해 시민들이 지역 문화재의 의미와 가치를 돌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며 "올해 사업이 향후 문화재청 주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공모 신청 및 사업 확보를 위한 교두보 역할이 되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
KT가 동아ST와 베트남 의료진 대상 의료 교육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4일 밝혔다. KT는 내달 출시를 목표로 베트남 의료진에게 한국의 의료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동아ST는 이 플랫폼을 위한 의료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KT의 신규 자체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동아ST는 국내에서 의료 지식 공유 플랫폼 '메디플릭스'를 운영하고 있다. '메디플릭스'는 국내 명의들의 진료 노하우와 환자 치료 경험, 각종 질환의 최신 동향 등의 콘텐츠와 국내외 학술행사의 온라인 라이브 송출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KT의 의료교육 플랫폼은 베트남어를 기반으로 ▲진료과별 한국 '명의'의 최신 지견 강의 ▲웨비나(Webinar) ▲강사와의 1:1 Q&A ▲현지 오프라인 세미나·교육 안내 ▲오프라인 세미나 다시 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KT는 베트남 현지 병원과의 온·오프라인 공동 세미나 추진을 협의 중이다. 플랫폼 개발을 위해 KT는 국내에서 이른바 '빅(Big)5 병원' 출신 의료진으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성했다. 자문단은 현지 수요에 맞는 커리큘럼을 기획하고 강의 제작과 콘텐츠 수급에 참여하고 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천안 천흥사지’가 고려 초 창건해 사역이 점차 확장됐던 다원식(多院式) 가람배치 확인에 따라 고려 초기 호서지역 최대급 규모의 왕실 사찰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천안시는 14일 오전 성거읍 천흥리 ‘천안 천흥사지’발굴조사 현장에서 문화재청, 충청남도,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과 함께 ‘천안 천흥사지’발굴조사 3차 주요 성과에 대한 공개 행사를 개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석탑 후면에 가구식 기단으로 구성된 건물 3동이 나란히 있었고, 천흥사의 역사 구성이 1탑 3금당 형식으로 추정하는 불전 공간이 확인됐다. 추정 금당지(9호 건물지)는 석재를 정교하게 다듬어 건물의 장식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북쪽으로 별도의 사역 공간(10~12호 건물지)이 구역별로 구분되는 다원식(多院式)의 가람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건물지 중 평면 형태 ‘정(丁)’자 구조의 대형건물지와 석등의 적심 시설, 천흥사지의 사역 확장과 구역을 구분할 수 있는 석축 시설 등이 확인돼 고려 사찰의 가람배치와 발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번에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천흥(天興)’,‘천흥사(天興寺)’,‘천흥사 삼보(天興寺 三寶)’,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문화재청ㆍ충청북도ㆍ옥천군에서 공동으로 주최하고,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이 주관하는 ‘옥천 마을탑의 종교문화사 이해’ 학술대회가 오는 22일 오후 2시 옥천군 관성회관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2022년에 문화재청에서 실시한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육성 사업 ‘옥천의 돌탑과 마을신앙’의 학술연구 성과를 도민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했다. 지난해에 1차 연구사업의 결실로 '충북 옥천의 마을 탑 신앙 연구', '옥천 청마리의 산제와 수살맥이'(이필영·남향, 문화재청ㆍ충청북도ㆍ옥천군ㆍ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권의 연구서가 발간됐고, 본 도서에 옥천군 15개 마을탑과 탑제 사례가 상세히 소개됐다. 한국의 민간신앙에는 돌을 쌓는 행위 자체를 신불(神佛)에게 정성 들이는 수단으로 여기고, 그렇게 쌓아진 돌무더기나 탑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오랜 전통이 이어져 내려왔다. 이는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북아시아의 돌무더기 신앙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마을탑은 바로 이러한 전통에서 유래한 대표적인 신앙대상물이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마을탑의 가치와 의미를 재발견·재인식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이기도 하다. 청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옥천의 마을탑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민화民畵는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신이 깃들어 있는 그림으로 민족회화民族繪畵라고도 하는 민화 작가 청하 노용식 화백을 인사동에서 만나다. 역사적으로 볼 때 민화는 신석기시대 암벽에 그려진 동물 그림이나 고구려 고분 벽화의 사신도四神圖, 또는 해·구름·바위·산·영지에 등의 장생長生圖와 수렵도에서 확인되듯이 우리 민족의 시작과 함께 하나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계의 새로운 변화와 미래의 희망을 위해 4만 미술인과 동행하고 있는 민화는 우리의 옛 선인들 그 중에서도 특히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에 녹아있는 갖가지 민간서화와 고사 무속신앙 등을 소재로 전통 회화를 모방해 소박하고 해학적으로 그려낸 생활미술이다. 민화는 도교와 불교, 유교의 종교적 요소를 담아 정신적인 안정과 소망을 담기도 하고, 산수화와 영물화, 풍속화와 같이 장식적 성격을 가지며 민족의 익살과 사랑의 멋을 표현하기도 한다. 비록 전통 순수회화의 범주에서는 벗어나 천시되어왔던 무명씨의 그림들이지만 그 그림들을 통해 우리 민족의 창의성과 시대상을 엿볼 수 있고 당시 서민들의 생활감정과 미의식을 느낄 수 있어 최근 들어 더욱이 귀중한 전통 문화유산으로 대접받고 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제3회 지리산 대화엄사 요가대축제가 6월 10일 전국에서 모인 500여 요가인들과 자원봉사자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한불교조계종 19교구 지리산 대화엄사 각황전, 대웅전, 보제루 특설무대 앞마당에서 화려하고 성대하게 개최됐다. ‘화엄, 천년을 세우다’를 주제로 펼쳐진 제3회 지리산 대화엄사 요가대축제는 202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 세 번째 요가대축제 무대를 올린 것이다. 이번 화엄사 요가대축제는 주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천년의 화엄성지 화엄사의 위용을 알림과 동시에, 지난달 5월 10일 고불식을 봉행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대중을 맞이하게 될 각황전 앞 석등(국보12호)의 부분 해체 보수작업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더불어 지구촌이 하나이며 저마다 다른 모습의 개체를 상호 인정하고, 각자 서로 다름을 존중하자는 퍼포먼스로 각양각색의 양산으로 표현된 대화합의 하모니를 지리산 대화엄사 도량에서 펼쳤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도대사관 인도문화원에서 준비한 인도 전통춤인 “까딱“을 선보여 요가 참가자와 일반인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대한요가회 요가시범팀과 해금과 가야금 연주에 맞춘 시범은 전통 악기와 현대 요가의 콜라보로
법왕청신문 김지 기자 | 지난 10일 대한불교조계종 의왕시 백운사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위령재 및 영산대재가 열렸다. 올해로 9회를 맞은 백운사의 위령재는 지역 내 호국보훈의 달을 대표하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이날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지원하고자 의왕시에 라면 300박스, 관내 보훈단체에 쌀 108포를 기탁해 의미를 더했다. 법진 주지 스님은 “우리 주위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의 아픔을 치유하고 어려운 이웃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성품을 기탁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성제 의왕시장은 “매년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위령재와 함께 취약계층을 위한 나눔도 실천해 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의왕시에서도 보훈가족을 위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아울러 복지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전했다.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파주시는 지난 9일 파주읍에 위치한 한국불교태고종 약수암으로부터 쌀(10kg) 100포대를 전달받았다. 이날 전달된 쌀 100포대는 약수암 신도들과 함께 마음을 모아 기부한 것으로, 관내 취약계층의 식사 지원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주지 성파 혜각스님은 “부처님의 자비로운 마음이 전해지길 바라는 마음에 후원하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지속적으로 봉사와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귀순 복지정책과장은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된 이웃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베풀어 주신 약수암 주지스님과 신도분들께 감사드린다”라며, “기탁해 주신 쌀은 어려운 이웃들이 든든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소중히 전달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불교태고종 약수암은 지역 내 소외계층을 위해 연탄 기부, 경로잔치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펼쳐나가고 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무슨일을 하든지 그것에 대한 자신감이 없으면 마음이 움츠러들고 소극적으로 변하게 된다. 지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바다속 땅속은 부글부글 끓어 지진 쓰나미가 여기저기 세계가 불안하고 지상에서는 대책없이 무책임한 최첨단 문명을 만들어 자연환경 자연생태 파괴하고 그것도 모자라 환경을 기계화해서 비 인간적으로 자기 만족만 채우려 허황된 사치 문명 노예가 되어 간다. 세상 사는게 내 맘대로 안된다 하여 화난다고 화풀이로 불지르고.폭행하고. 납치하고 생명을 마구잡이로 비참하게 죽이고 그것도 모자라 비행기 타고 세계를 돌며 국제 범죄를 일으키니 천지신명 진노하여 하늘에서 뢰성 벽력 우르릉 쾅쾅 지구는펄펅끓는 용광로 되어가네! 사람이라면 멀쩡한 세상 누가 오라했나 가라고 했나 제발 사람답게 살다가 부끄럽지 않게 갑시다 실패가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도전을 하는 것이고 도전을 하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잡는 것이다.
글 / 동신대 동북아연구소장 고재휘교수(본지 수석 논설위원) 전역을 원하는 장기복무 간부들이 급증하고 동시에 초급간부 지원율도 급감하고 있다. ROTC 경쟁률뿐만 아니라 사관학교 그리고 민간대학 군사학과의 인기도 크게 있다. 장교와 더불어 간부의 주축을 이루는 부사관의 모집도 차질을 빚고 있다. 한때는 선망의 직업이었던 군 간부가 왜 이렇게 외면받는 것일까. 초급간부 확보 문제는 최근에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 과거 정부에서부터 추진해온 병 복무기간 단축, 병영내 휴대폰 허용 등 지나친 병사 위주 정책의 부작용이 누적되어 지금 급격히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병사 월급 200만원 추진으로 초급간부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더 증폭되고 있다. 병사 월급은 매년 가파르게 올라갔지만, 간부 월급은 동결되거나 소폭 인상되는 데 그쳤다. 군의 특성상 격오지에서 생활하며 근무 강도도 높지만, 계급 정년으로 직업 안정성이 불안하고 사회적으로 존중마저 받지 못한다. 낮은 처우와 좋지 않은 사회적 인식 그리고 직업으로서의 비전도 없다는 것이다. 그동안 군은 명예를 강조하며, 이른바‘애국 페이’를 강요해 왔다. 그 결과, 군 간부의 보수는 동일 수준의 공무원과 비교해 낮게
By Reporter Anna Kim Minister of Foreign Affairs Park Jin arrived in Tashkent, Uzbekistan, on June 1 for an official visit to the country. Foreign Minister Park had a bilateral meeting and a dinner with Minister of Foreign Affairs Bakhtiyor Saidov, and had a broad exchange of views on key bilateral issues, regional affairs, and ways to work together in the international arena. Foreign Minister Park took note of the remarkable progress in the Korea-Uzbekistan relations for the past 30 years or so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and suggested continuing to develop bilate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한송이 꽃처럼 아름다운 주말 되세요.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찌릉 보톰랑세이 주한 캄보디아 대사는 대한민국이 캄보디아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대외관계 다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대한민국은 캄보디아 왕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외교부는 캄보디아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찌릉 보톰랑세이 대사는 한-캄보디아 무역협정 체결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문 : 세계에서 가장 우호적인 두 나라 간의 양국 간 무역협정 체결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협정 내용을 소개해 주세요.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CKFTA)이 양국 간 교역량을 늘리고 더 많은 새로운 수출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양국의 경제 전망에 대한 견해를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 지난해 캄보디아와 대한민국은 공식 외교관계 수립 25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양국은 1990년대 후반에 외교관계 수립에 착수했지만, 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경제적, 전략적 관점에서 볼 때 캄보디아는 투자하기 좋은 환경과 메콩강 유역 중심부에 있는 전략적 위치로 인해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외교부는 우리나라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에 대해 "정부는 유엔헌장이 규정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와 국제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수호하는 책임 있는 국가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고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추진해 왔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7일 입장문을 통해 "전날(6일) 서울시간 밤 11시 뉴욕 유엔 본부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 선거에서 알제리,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가이아나와 함께 2024-25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고 전했다. 이는 1996-97년, 2013-14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선출에 이어 세 번째 진출이다. 이날 투표에는 193개 유엔 회원국 중 192개국이 참여했으며, 아시아태평양그룹에서 단독으로 입후보한 우리나라는 총 유효투표 192표 중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태그룹 소속의 이사국으로 당선되었다. 안보리 이사국 당선을 위해서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출석하여 투표한 국가의 2/3 이상의 지지가 필요하다. 안보리는 국제평화 및 안전유지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가진 기관으로, 전 세계의 무력분쟁을 포함하여 국제평화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