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어김없이 찾아온 아침입니다. 어제도 해가 뜨고 지고 오늘도 해가 떴습니다. 늘 우러러보던 해와 달 오늘은 내 발아래 그림자 되어 따사로운 햇살과 부드러운 달빛의 메아리를 쫓아 한없이 내리는 빗방울을 따라 이 밤의 새벽을 열고 있습니다. 내일의 해와 달이 또 다시 나의 하루를 속삭였습니다. 이 밤 새벽을 여는 빗줄기 끝없이 떨어지는 하얀 밤 그 밤을 뚫고 또 내일의 해가 구름속에 가리운채 뜨고 하루의 나른함을 발아래 놓아 둔채 오늘의 달이 나에게 속삭였습니다. 어제 오늘 내일이 모두 해와 달의 발밑에 있다고 5월의 오색 찬란한 색상으로 예쁨을 자랑하는 꽃 향기 속에서 기쁨 넘치는 행복한 날 되시길 마음을 전합니다. -발아래 드리운 햇살 달빛-中-펌- ㅡ승소ㅡ
법왕청신문 이정하기자 | 마음에는 놀라운 힘이 있다. 나도 모르는 위대한 힘이 마음에 있다. 그 놀랍고도 위대한 힘을 알기 위해서는 마음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마음을 알기 위해서는먼저 고요해져야 한다. 그 고요함 속에서 마음에 잠재된 무궁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비로소 밖으로 튕겨 나와 세상을 움직이고 변화시킨다 그것이 心力이다. 내가 남에게 해롭게 할 맘이 없으면 남도 내게 해롭게 하지 않는다. 모든 이해관계에서 욕심이 따르면 생사거래生死去來 죽고사는 문제로 변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살기 위해선 무슨 짓 이라도 한다. 그러더라도 사람이라면 그래서는 안된다. 갈수록 그 욕심慾心때문에 세상이 아비규환阿鼻叫喚되어간다. 물질.권력.명예놓고 짐승만도 못한 짓 천지신명天地神明진노震怒하여 재앙災殃이 온다. 우리는 어쩌면 남들 보기에 멋진 인생을 살아보겠다고 ‘건강한 매화를 병들게 만드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있지는 않을까? 반대로 그저 내 한 몸 편하고자 ‘치마를 걷고 발을 적시는 수고로움’마저 꺼리고 있지는 않을까? 때로는 거침없이, 때로는 수굿이 건네는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고 인생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얻을 것이다. 삶에 대해, 사람과 세상에 대해 숙고하여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연등회가 5월 20일 서울 동국대와 종로 일대에서 거행됐다. 연등회의 꽃은 연등행렬. 장엄등이 앞장서고 스님과 불자들이 각자 등을 밝히면서 종로 일대를 환하게 수놓았다. 올해 연등회는 팬데믹 전으로 오롯이 돌아간 첫 번째 행사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부처님오신날 봉축위원회는 오후 7시부터 ‘마음의 평화, 부처님 세상’을 주제로 부처님오신날을 찬탄하는 연등행렬을 시작했다. 이날 동국대운동장에서 어울림마당과 연등법회를 봉행한 사부대중은 손에 오색연등을 들고 흥인지문(동대문)을 출발, 종로를 거쳐 종각과 서울 조계사까지 긴 행렬을 이어졌다. 연등행렬은 인로왕번과 오방불번을 앞세운 취타대를 시작으로 범천등, 제석천등, 사천왕등, 육법공양등이 선두를 이끌었다. 또 봉축위원장 진우 스님을 비롯해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소속 종단대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홍익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등으로 구성된 봉행위원단과 중앙승가대, 동국대 석림회, 파라미타청소년연합회와 종립학교 학생 등이 선두그룹을 형성했다. 연등행렬이 지나는 종로 일대에는 코로나19 방역수칙이 엄격히 적용됐던 지난해와 달리 외국인과 시민 등이 대거 몰려 도로를
법왕청신문 이정하기자 | 우리 주변에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 존재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외관상' 우리의 눈에 보이기는 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것들도 많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로 '모래'가 있습니다. '모래'는 지구상에서 아주 흔히 볼수 있는 '물질'이라서 매우 평범하고 별로 특별한 것이 없어 보입니다. '모래알' 하나하나가 다 똑같아 보이며 색깔도 반짝임도 없습니다. 따라서 '모래 목걸이'나 '팔찌'를 한사람을 우리는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미경'으로 '모래'를 보면 어떨까요? 눈으로만 볼때는 다 똑같아 보이고 예쁘지도 않지만 100배 이상으로 '확대'해 보면 '모래알' 하나하나가 다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결정체'와 '조개껍데기'의 '미세한 조각'들을 볼수 있습니다. 마치 '모래' 한줌안에 많은 '보물'이 담겨있는 것과도 같습니다. -모래의 내면-中에서-펌- ㅡ승소ㅡ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깊고 무서운 진실을 말하라. 자기가 느낀 바를 표현하는 데 있어 결코 주저하지 말라. 당신이 누군가를 속이려 들 때 상대가 완벽히 속았다는 확신이 든다면 어쩌면 그 상대는 당신을 사랑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진실과 거짓을 가려내지 못해 속은 게 아니라 당신을 사랑하기에 가려내지 않았을 뿐일지도 모른다. 내가 진실하면 주변에 적이 없고 내가 거짓이면 가는곳 마다 적이다. 탐욕은 거짓과 위증을 만들고 베품과 사랑은 진솔한 세상을 만든다. 내가 괴롭고 고통스러운것은 평소 욕심으로 살아온 인과이고 내가 걱정근심 없이 평탄하게 사는것은 나보다 남을 먼저 배려하고 사랑한 까닭 이라네! 자신에 거짓과 위선을 숨기려 한다면 또다른 거짓으로 사기꾼 된다. 거짓과 진실의 차이는 활짝핀 꽃에서는 향기나고 생명없는 조화가 활짝웃고 있더라도 향기없듯이 조화를 생화라 박박 우기면 되겠는가? 남들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이 진실임을 안다는 점이다. 어찌 자신이 진실치 못하면서 남이 나에게 진실하기를 바라겠는가? 우리에게 관계된 진실이 언급되는 것은 고작 절반밖에는 되지 않지만 그러나 잘 주의해서 따져보면 그 언급에서 전체의 의미가 파악된다. 진실은 언제나
부산 동구(구청장 김진홍)는 지난 17일 동구청에서 부산시각장애인주간보호센터, 참터·방과후 주간활동서비스센터, 한국문화 르네상스, 아란야 다회 등 4개의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및 단체와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 협약식'을 가졌다. 구는 지난 3월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이 주관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공모에 3년 연속 공모선정이 돼 국비 6천만 원 포함 총 1억2천만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장애인 평생교육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장애인 학습자 수요를 반영한 장애 맞춤형 평생교육을 제공해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삶의 질 제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같이 배우고 함께 나누면서 지역사회 통합을 촉진하고 장애인 교육기관 간 평생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해 장애인도 편리하게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며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 강서기적의도서관이 지난 17일 재개관을 맞아 주민들을 위해 다채로운 재개관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강서기적의도서관은 그동안 도서관 내 어린이 복합문화 공간 리모델링 공사로 3월 2부터 휴관에 들어갔으며 이달 중순 리모델링을 마무리했다. 재개관 기념행사로는 ▲오는 20∼26일 북스타트 주간 추진 ▲내달 3일 재개관기념음악회 ▲내달 10일 창의융합 보드게임 대축제 등이 펼쳐진다. 이달 20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될 북스타트 주간은 한국 북스타트 20주년을 기념해 전국 북스타트 참여 도서관에서 동시에 열리는 행사로 기적의 도서관 야외에서 마련된다. 야외마당에 인디언 텐트, 돗자리, 종이의자 등을 활용, 야외 피크닉존을 만들어 야외독서공간을 마련하며 강아지 스티커, 놀이 엽서북, 그림책 목록 등 독서 굿즈를 제공한다. 오는 20일 오후 3시에는 풍선을 이용한 드리머즈 매직쇼도 펼쳐질 예정이다. 내달 3일은 열릴 '강서기적의도서관 재개관 기념음악회'는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BSO)와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의 조인 콘서트로 개최된다. 콘서트는 다니엘S김 BSO 부지휘자의 해설과 지휘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피아노로 구성된 10인조 현악앙상블 연주와 부산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경주시가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양일간 ‘경주 금강산 표암봉 일원’에 대한 연구 성과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된 표암봉 일원에 대한 각 분야별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금강산 일원의 학술·문화적 가치를 논의 하고자 마련됐다. 이틀 동안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등 관계기관 및 학계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실시됐다. 학술세미나 1일차 발제는 장우영(수원대학교)의 경주 동천·용강동 내 유적으로 본 북천 구유로의 범위, 이영호(경북대학교)의 신라의 산악숭배와 경주 금강산, 송은석(동국대학교)의 경주 금강산의 불교 조각 , 정병호(경북대학교)의 금강산 백률사 제영시에 나타난 공간감성과 그 의미, 홍보식(공주대학교)의 신라 왕경인의 사후 안식처, 소금강산 등으로 진행됐다. 2일차는 노종국(계명대학교) 좌장의 진행에 따라 금강산 일원의 발제를 바탕으로 논의와 쟁점이 되는 부분 등을 발제자와 분야별 전문가가 함께 검토하며, 청중과 직접 대담도 나눴다. 이우찬 문화재과장은 “이번 학술세미나는 금강산 일원에 대한 역사·고고학은 물론 문학까지 다양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김희현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는 19일 서귀포 칠십리 야외공연장에서 열린 ‘불기 2567년 부처님 오신날 봉축대법요식’에 참석했다. 서귀포시 연합봉축위원회(회장 효암 성근스님) 가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 김희현 부지사는 “도민과 함께 불교계의 헌신과 노력으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함께 할 수 있었다”면서 “부처님의 미소가 우리의 마음에 안식을 주고 평화와 행복으로 이끄는 힘이 되어주실 거라 믿는다”고 전했다. 김희현 부지사는 이어 “제주도정은 어려운 이웃과 공동체를 세심하게 보듬고 따뜻한 온기가 지역 사회 곳곳에 스며들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석가세존께서 도솔천에서 내려 오심에서 쌍림에서 열반하시기 까지 여덟까지의 모습을 보이심은 나와 같이 수행하면 일체중생이 부처가 될수가 있다는 것을 보이시기 위함이라!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 하늘 위나 하늘 아래에 나홀로 높다라고 선언함이며 이는 모든 중생들 개 개인이 누구나 높다 하는 뜻으로 중생의 평등과 자유를 선언함이며 삼계개고 아당안지三界皆苦 我當安之 삼계가 모두 괴로움이니 내가 이제 그들을 편안하게 하리라. 삼계에있는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한다는 것은 부처님의 자비를 말한 것이다. 부처님 오신날은 당신께서 부처로 탄생하시는 날입니다. 당신은 내가 사랑하고 존귀하신 부처님이십니다. 이제 당신과 나는 둘이 아닙니다.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지난 4월 25일 네팔 카투만두 보다 돌망링사찰에서 네팔 승가 최초로 사단법인 세계불교교황청 주최로 교황청장 석능인스님을 전법대화상으로 증명대법주 대법황 향덕스님, 존증사에, 원명스님, 혜광스님, 운봉스님이 참석한 가운데 네팔라마스님 11명을 능인문하로 입실 건당식을 봉행했다고 5월 20 사단법인 세계불교 교황청에서 밝혔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인생'이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때까지의 삶"을 의미합니다. '내세'를 믿는 '종교'에서는 "인생은 잠시 살다 가는 나그네" 라고 말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인생의 종점'이 가까워진 '노년기'의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앞으로 어떻게 변(變)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됩니다. '러시아'의 '대문호'인'톨스토이의 '참회록(懺悔錄)'에는 아주 유명한 다음과 같은 '우화'가 있습니다. 한 '나그네' 가 '광야'를 지나다가 '사자'가 덤벼 들기에 이를 피하려고 부근에 있던 물이 없는 우물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마침 우물 아래쪽에 큰 뱀이 큰입을 벌리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우물 밑으로 내려갈수도 없고 우물 밖으로 나올수도 없는 '나그네'는 우물 안의 돌틈에서 자라난 조금만 '관목가지'에 매달립니다. 우물 내.외(內.外) 에는 자기를 기다리는 '적'(敵)이 있으니 얼마 지나지 않아 자기의 '생명'을 잃어버리게 되리라는 것을 잘 압니다. '나무가지'에 매달려 나무를 쳐다보니 '검은 쥐'와 '흰쥐' 두마리가 '나무가지'를 쓸고 있었습니다. 두손을 놓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은 '나무가지'가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자신감이 없고 열등감이 심한 사람 역시 먼저 사과할 수 없다. 그들에게는 자기의 과오를 인정하는 것만큼 끔찍한 일은 없다. 자기가 틀렸음을 인정하는 것은 곧 열등감을 재확인하는 일이기 때문에 결코 사과하지 않는다. 무책임한 사람 역시 과오를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는다. 내앞에 닥친일을 남에게 책임전갈 하지 말라 내가 할일 남이 할일이 따로 있다. 남에 일을 내가 도울일이 있다. 또 남이 내 일을 도울일도 따로 있다. 하지만 무조건 기대하거나 바라지 말라 공짜 바라는 심보는 옛말에 대머리 된다고 했다. 주고받는 서로에 공과사가 분명 있어야만 뒷말이 없다. 오고가는 베품과 사랑이 세상을 평화롭게 하며 행복하다 할 것이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이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등 살아 있는 생물과도 교감할 줄 알아야 한다. 입에 말이 적으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 말하고 싶은 충동을 참을 수있어야 한다. 생각을 전부 말해 버리면 말의 의미가 말의 무게가 여물지 않는다. 말의 무게가 없는 언어는 상대방에게 메아리가 없다. 말의 의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무생(無生)의 삶을 이룩하고 해탈(解脫)의 위신력(威神力)을 갖춘 분이 오늘 진리(眞理)의 현신(現身)으로 우리곁에 오셔서 범부(凡夫)를 고쳐 성인(聖人)을 이루는 우레 같은 할(喝)을 하니 비로(毘盧)의 바다가 뒤집히고 생각마다 미륵(彌勒)이 하생(下生)합니다. 곳곳에서 진리(眞理)의 현관(玄關)이 열려 중생(衆生)을 깨우치는 사자후(獅子吼)가 쏟아지고 자문(慈門)이 열려 중생(衆生)을 요익(饒益)케 하는 무외시(無畏施)가 넘칩니다. 새들은 환희(歡喜)에 젖어 생멸(生滅)없는 무생가(無生歌)를 노래하고 석녀(石女)는 줄없는 거문고로 틀 밖의 소식을 전하니 두두물물(頭頭物物)은 불조대기(佛祖大機)를 풀어내고 범성(凡聖)은 본래면목(本來面目)을 통해 차별 없는 일미(一味)를 이룹니다. 삼라만상(森羅萬象)은 일기일경(一機一境)을 통(通)해 진리(眞理)의 모습을 드러내고 여러분 앞에 시종(始終)없는 빛을 놓고 있습니다. 자성(自性)을 통(通)해 무생(無生)의 면목(面目)을 깨달은 분은 고통에서 벗어나는 해탈(解脫)과 안락(安樂)을 얻을 것이요 탐욕(貪慾)속에 자리하고 있는 이타적(利他的)덕성(德性)을 깨달은 분은 함께 아파하고 치유하는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문화재청은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진우 스님), 사단법인 성보문화재연구원(원장 현문 스님)과 함께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의 2022년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은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복원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작됐다. 문화재청은 매년 대형불화의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와 보존 현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정밀조사 보고서를 발간해 왔으며, 이번이 여덟 번째 결과물이다. 지난해 조사한 괘불도는 ▲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보물) 등 총 6건이다. 조사 결과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문양 및 장신구 등에서 금박과 함께 많은 은박이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간 일부 괘불도에서 은박이 한정적으로 사용된 것은 확인됐으나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경우 특히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