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일정스님의 “산하무애山河無碍, 막힘 없는 길을 위하여”

- 마음이 걸림이 없으면, 세상도 걸리지 않는다
- “마음에 걸림이 없으면, 길이 열린다.
- 마음에 벽이 없으면, 중생이 구제된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예로부터 불가에서는 “산하무애山河無碍”라 하였습니다. 크게는 삼천대천세계가, 작게는 한 사람의 마음이 본래는 막힘이 없는 진리의 흐름, 무애無碍의 세계에 있다고 말입니다.

 

산은 산이고, 강은 강이지만 그 흐름에는 막힘이 없습니다. 물은 산을 돌아 흐르고, 산은 물을 품어 길을 내줍니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는 작은 오해에도 막히고, 작은 차이에도 멈추며, 서로를 넘지 못할 벽으로 여깁니다.

 

 

세상은 소통이 막히고, 마음은 꽉 막혀 있다 요즘 세상은 온갖 정보와 소식이 넘쳐나고, 연결된 듯 보이지만 정작 마음은 서로를 향해 굳게 닫혀 있습니다. 정치의 벽, 이념의 벽, 세대의 벽, 그리고 감정의 벽, 그리하여 말은 많고 이해는 적으며, 속도는 빠르되 방향은 흐릿합니다. 어느새 우리는 ‘산과 강처럼 흐르는 삶’이 아니라 ‘벽과 장벽처럼 고립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무애란, 단순히 막힘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산하무애”의 참뜻은 모든 차별과 경계를 뛰어넘는 자비와 지혜의 실천에 있습니다. 무애란, 산이 물을 가로막지 않듯 내가 너를 가로막지 않는 것, 물이 바위를 돌아 흐르듯 고통과 시련을 돌아 나아가는 길입니다.

 

타인의 다름을 배척하지 않고, 나의 아픔에 갇히지 않으며, 서로 다른 길들이 결국 하나의 진리를 향해 흐른다는 자각, 그것이 산하무애입니다.

 

 

산처럼 흔들리지 말고, 물처럼 멈추지 말라. 지금 우리 사회는 변화와 위기, 분열과 갈등의 물결 속에 있습니다. 그 속에서 우리는 산처럼 묵직한 신념을 지니되, 물처럼 유연한 마음으로 서로를 감싸야 합니다.

 

나와 생각이 다른 이와도 마주 앉고, 나의 상처와도 평화롭게 머물며, 과거의 잘못도 돌처럼 밟고 지나 새로운 길을 내야 할 때입니다. 그 길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서 산과 강을 일으키는 이만이 스스로 찾을 수 있습니다.

“山河無碍”란 산이 막혀도 길은 돌아가고, 강이 갈라져도 결국은 바다로 가듯,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고 품는 순간, 그 마음 하나가 곧 진리의 길이 된다는 뜻입니다. 마음이 무애하면, 세상도 무애하고 자비가 무애하면, 고통도 이겨내며 지혜가 무애하면, 벽도 다리가 되나니...

 

대중이여, 산과 강이 막힘없이 흐르듯, 우리의 마음과 삶 또한 자비와 이해, 지혜와 실천으로 무애의 길을 열어가시길 기원합니다.

 

나무 본사 석가모니불

 

나무 대자대비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