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세상을 살다 보면 우리는 수많은 인연을 만납니다. 어떤 이는 우리의 벗이 되어 따스한 손을 잡아주고, 어떤 이는 우리의 마음에 상처를 남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가르치셨습니다. "怨親平等 同體大悲" 원수와 벗을 가르지 말고, 모두를 평등히 여기며, 한 몸처럼 품는 자비를 지녀야 한다고. 원망하는 이도, 사랑하는 이도, 모두 한 세상의 중생이요, 모두가 고통과 기쁨을 함께 겪는 인연입니다. 우리가 미워하는 그 사람 또한 자신의 무명을 이기지 못해 아픔을 드러낸 것일 뿐, 본성은 모두 부처님과 같은 청정한 빛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움에 끌리지 않고, 친애에 집착하지 않으며, 모든 인연을 평등하게 대하고, 한없는 자비로 서로를 어루만져야 합니다. 서로 다투는 마음을 거두고, 서로 상처내는 말을 삼가며, 적대와 집착을 초월하여 모든 존재를 있는 그대로 껴안는 것. 그리할 때, 우리 마음은 진정으로 자유로워지고, 이 세상은 고통이 사라진 정토淨土가 될 것입니다. 오늘 이 시간, 우리 모두 '怨親平等원친평등'의 마음을 지니고, '同體大悲동체대비'의 가슴으로 세상을 품읍시다. 그것이 곧, 자신을 구하는 길이요, 모든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는 5월5일(음력 4.8) 불기2569(2025)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4월23일 봉축법어를 내렸다. 중봉 성파대종사는 “부처님께서 룸비니에 탄생하실 때 두루 일곱 걸음을 걸으시니 걸음마다 연꽃이 솟아올랐고,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땅을 가리키며 ‘하늘 아래 나 홀로 존귀하다’라 하셨도다”며 “우리 모두 이러한 존엄성을 인정하고 잘 활용하면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고, 이 땅을 극락처럼 만들 수 있으니 각자에게 본래 구족한 불성(佛性)을 인정하는 삶을 살고, 법장 비구가 극락세계를 만들었듯이 각자의 불국토를 만들어 내는 원력을 세우고, 각자가 이를 성취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는 가르침을 내렸다. 이어 “각자의 안목과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어 부처님의 안목으로 세상을 보지 못하고, 부처님이 권한 행(行)을 하지 않았으며 ‘나’라는 한계와 조건에서 자유롭지 못했기에 일어나는 일이니 이러한 조건에서 벗어나는 일이 참으로 중요하도다”라며 “부처님 안목으로 세상을 살면 걸음걸음마다 연꽃이 피어나고 행하는 일마다 무진법문이 되도다”라고 설했다. 다음은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대종사 봉축법어 전문. [20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꽃을 집어 미소하니,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한다. 여러분, 한 번 눈을 감고 상상해 봅시다. 한 스님이 조용히 연꽃 한 송이를 들고 있습니다. 아무 말 없이, 그저 미소만 지었을 뿐입니다. 그 모습을 본 제자 가섭은, 말 없이 웃었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 스승과 제자는 말없이 마음이 통했습니다. 이 이야기가 바로 ‘염화미소拈花微笑’입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깊은 마음의 교감”이지요. 이처럼, 세상에는 말보다 더 깊이 전해지는 마음이 있습니다. 웃는 얼굴, 따뜻한 눈빛, 진심 어린 행동. 이것이 바로 ‘심심상인心心相印’,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는 길입니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특히 많은 갈등과 고민 속에 있는 청소년 여러분에게도 이 마음의 길은 아주 소중한 열쇠가 됩니다. 친구와 다투었을 때, 부모님과의 오해가 생겼을 때, 굳이 말로 다 설명하려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때로는 진심 어린 미소 하나, 작은 배려 한 번, 그것만으로도 마음은 전해질 수 있습니다. 스님들이 말하는 ‘참된 깨달음’은 거창한 철학이나 깊은 공부에서만 오는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아주 작은 순간, 꽃을 보고 미소 짓는 그 마음속에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영산설법靈山說法은 불교 경전에서 가장 경이롭고 상징적인 장면 중 하나로, 부처님께서 영축산靈鷲山에서 설법하시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가르침은 우리가 삶 속에서 어떻게 깨달음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과 영감을 줍니다. 영산설법도는 이러한 가르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그 안에는 깊은 철학적 의미와 깨달음의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영산의 법회는 단순히 부처님의 설법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이는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다양한 중생들의 마음과 태도를 함께 나타냅니다. 법회에 참여한 대중들은 보살, 아라한, 비구, 그리고 일반 중생들까지 다양한 존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습은 깨달음의 길이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에게 차별 없이 열려 있다는 부처님의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상징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가르침의 핵심은 바로 연기법緣起法입니다. 세상 모든 것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존재하고, 그러므로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깨달으면 우리 삶의 고통과 번뇌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산설법도 속에서 부처님은 이러한 연기법의 진리를 설하며,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
법왕청신문 김지 기자 |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아 4일 오후 양산 통도사를 방문하여 조계종 종정 성파스님, 통도사 주지 현덕스님과 새해 덕담을 나누었다. 이날 자리에는 나동연 양산시장과 최영호, 권혁준, 박인, 허용복 도의원도 함께하여 도정의 방향과 지역 발전에 대하여 고견을 나누었다. 양산시 영축산에 자리하고 있는 통도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본사로, 합천 해인사. 순천 송광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삼보사찰 중 하나이다. 이번 방문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리로, 도정의 중요 사안들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특히, 경상남도와 양산시가 협력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지난해 경남이 재도약의 기반을 닦는 한 해였다면 올 한 해는 본격적으로 도약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며 “도내 전 지역과 함께 힘을 모아 희망의 새 경남시대를 위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