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65년 3월 24일. 일붕은 컬럼비아대학을 떠나 캘리포니아대학 동양학과 교환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국내에서는 한일협정 체결과 월남 파병으로 데모가 그치질 않았고 하와이에서는 독재자 이승만이 숨진 을사(乙巳)년. 이 해에 일붕의 미국 포교는 탄탄한 기반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된다. 캘리포니아대학은 그 당시 동양 언어학과장인 로저스 박사가 중심이 되어 해인사<팔만대장경>를 英韓 漢文의 3종으로 목록을 작성했고, 도서관에는 해인사 대장경 목판본 3천여 권을 소장하는 한편 대장경의 영인본과 한글본을 마련했을 정도로 불교연구에 대단한 관심을 쏟고 있었다. 일붕이 이 대학으로 옮긴 것은 연초에 道心이란 법명을 얻고 법제자가 된 완델(Wan Del)씨의 주선에 의한 것이었다. 완델씨는 캘리포니아에 사비를 들여 길을 닦아 완델路라고 붙였을 정도로 재력을 가진 미국인이었는데, 일붕의 제자가 된 이후부터는 禁酒, 禁煙, 1일 2식을 하면서 아침저녁으로 참선을 하는 열렬한 신자가 되었다. 그는 일붕을 흠모하여 자신의 별장에다<조계종 미국불교 선원>을 차리고, 일붕을 집에 모셔다 각종 편의를 제공했다. 부인 완델 여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산혜연선사 발원문, 영인스님 독송 / 동영상 시청하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북두주北斗呪 영인스님 자손에는 만가지 덕과, 장애와 재앙을 막아주고, 업장을 소멸한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64년 10월 4일. 미국 뉴욕의 불교회관. 이날은 한국 불교의 미국 포교에 일대 전환점이 된 획기적인 날이다. 연일 지식인을 상대로 선을 강의하던 일붕의 진지한 태도와 求道者다운 엄숙함, 그리고 엄한 계율에 반한 미국인 네빌 워위크(Dr. Neville Warwich) 박사가 자청하여 머리를 깎고 승복을 입은 날이기 때문이다. 네빌 워위크 박사는 20년간 가톨릭 신부로서 가톨릭의 성의聖衣인 로만 칼라를 입고 활동하다가 몇 년 전 神父職을 포기하고 티베트불교 淨土宗에 귀의했다가 일붕을 만나 한국 불교의 승려가 된 것이다. 그는 일붕의 상좌(上佐: 제자)가 되었는데, 일붕이 상좌에게 주로 내리던 돌림자인 道字를 따 도명道明이란 법명을 얻었다. 일붕은 참으로 흐뭇한 마음으로 도명의 건당식建幢式을 치렀다. 건당식이란 눈 밝은 큰스님과 눈 밝은 제자 사이에 법法을 고스란히 이어주고 이어받는 불교의 엄숙한 의식 중 하나이다. 건당식을 마침으로써 네빌 워위크씨는 도명으로 새롭게 태어났고, 일붕은 벽 안의 지식인 상좌를 얻었으며, 한국 불교는 최초의 미국인 승려가 생겨난 것이다. 도명으로서는 가톨릭의 신부복인 로만 칼라 대신 승복을, 성서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경모음]신묘장구대다라니 영인스님 자막있음 매일기도하시면소원이 이루어집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64년 8월 29일. 세속의 나이로는 51세, 법랍 33세가 되던 해, 갑진년(甲辰年) 음력 칠월 스무이튿날. 일붕은 마침내 미국으로 향하는 영국 항공사의 트랩을 올랐다. 이 해에 국내에서는 대일 굴욕외교반대 범국민특위가 결성되고 김종필, 오히라의 메모로 불이 붙은 데모 격화로 서울 일원에 비상계엄령선포(6·3사태), 월남파병을 위한 국군파견에 관한 협정체결, 동양방송 개국, 석굴암 복원공사 항공기 국내 첫 취항 등이 있었고 미국 레인저 착륙, 맥아더 사망, 소련 흐루쇼프 실각과 브레즈네프 입각, 존슨 미국 대통령 당선, 중공 제1회 원폭실험 성공 등이 있던 해였다. 인공위성 6호 발사 및 同 7호 달 표면 착륙, 맥아더 사망, 소련 흐루쇼프 실각과 브레즈네프 입각, 존슨 미국 대통령 단선, 중공 제1회 원폭실험 성공 등이 있던 해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중국 승려 경륜조사慶輪祖師와 불교협회 초청으로 미국행 비행기에 오른 일붕은 동남아시아 미얀마와 스리랑카, 유럽의 서독과 영국에서 보낸 교환교수 시절과 6·25 때의 고생이 연상聯想작용에 의해 겹쳐졌다. 참으로 힘들고 어려운 시기였다. 동남아에서는 더위와 오후 불식(하루에 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큰스님 전기집 오! 한국의 달마여 佛敎와 文學 불교에는 팔만대장경이란 거대한 경전經典이 있다. 이는 종합적인 성격을 가진 방대한 종합 체이다. 따라서 보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면 철학자, 과학자, 문학자, 정치가, 교육자, 미술가, 경제학자, 군사연구가들이 각각 자기의 기준에 따라 팔만대장경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이다. 옛 문장가 소동파蘇東坡가 노산盧山이란 높은 산을 이렇게 그린 시가 있다. 橫着成嶺側着峰하니, 遠近高低自不同이라, 不見盧山眞面目은, 只緣身在此山中이라. 이는 다 같은 노산이지만 멀리서 횡(옆)으로 보면 큰 재가 되고 몸을 기울여 올려다보면 높은 봉우리가 된다. 멀고 가까이서 보는 높낮이가 같지 않다. 그러나 노산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는 것은 몸이 노산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란 의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불교는 보는 자의 생각과 기준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그래서 한 가지로 규정짓기 어려운 것이다. 불교는 마음 심(心)자 하나를 온갖 형태로 전개 한 것이다. 그런데도 ‘이것이 불교다'라고 단언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갈래가 워낙 복잡하기 때문이다. 불교는 마음의 근본 바탕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경모음]우리말 천수경 자막있음 영인스님, 자식을위한 기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사단법인 동아시아 문화유산 보존관리협회는 국보적 가치를 지닌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인 월인석보 옥책 전12권을 최초로 공개하는 전시와 학술행사를 지난 16일 한국 프레스센터 기자 회견장에서 (주)에스앤디 글로벌 주관, 사단법인 한국국제예술진흥원의 협찬으로 개최했다. 월인석보(月印釋譜)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에 간행한 목판본 불교 서적이다. 초간본 10권 8책과 중간본 4권 4책이 보물 제745호로 지정되었으며 초간본 2권 2책이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날 공개된 월인석보 옥책 전12권(券)은 수작업으로 옥 조각을 엮어 만든 총 364개의 옥편(玉片)에 각수된 것으로 옥봉 24개와 함께 고대 방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판명되었고 옥편의 크기는 가로 4.5㎝, 세로 28㎝, 두께 0.8㎝이다. 우리나라 서지학계 원로인 정광 고려대 명예교수는 조선 세조 때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가 정통 12년 즉 세종 29년(1447년)의 제작연대 추정의 월인석보 옥책이 발견됨으로 학계가 크게 동요될 소지가 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외 미술사학자 이재준 한국 역사 유적 연구원 고문, 첨단과학감정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무착사 회주 해봉스님의 "오늘의 사색" 물도 바위 절벽을 만나야 아름다운 폭포가 되고.. 夕陽도 구름을 만나야 붉은 노을이 곱게 빛나 보이며..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때로는 기쁘고 좋은 일이 있고 때로는 슬프고 힘든 일이 있게 마련입니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고 장대 같은 폭우가 쏟아질 때와 보슬비 가랑비 여우비가 내릴 때도 있고 구름 한점 없이 맑고 깨끗한 날이 있듯이.. 인생의 참된 즐거움도 역경과 고난을 만난 뒤에 비로소 뒤늦게 알게 되는 것이 우리들의 人生事인 것처럼 사람도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美來가 바뀌니 좋은 만남 좋은 선택을 하셔야 겠습니다.. 병에 물을 담으면 "물병" 꽃을 담으면 "꽃병" 꿀을 담으면 "꿀병"이 됩니다.. 통에 물을 담으면 "물통" 쓰레기를 담으면 "쓰레기통"이 됩니다.. 우리 사람의 "마음"도 이와 같아서 그 안에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좋은 인상을 받을 수도 있고 천덕꾸러기가 될수도 있습니다 즉. 우리 마음속에 담겨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사람대접을 받느냐 못 받느냐 하는 것입니다.. 감사 사랑 겸손 慈悲 下心등 좋은 것을 담아두면 나 자신이 행복한 사람이 될것입니다. 무엇을 담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계불교승가청년연합 총재 상산스님의 죽비소리 닦아야 할 유리창과 고쳐야 할 하수구가 있다면 그건 나에게 집이 있다는 뜻이고 빨래거리, 다림질 거리가 많다면 가족에게 옷이 많다는 뜻이고 가스요금이 너무 많이 나왔다면 그건 내가 지난 겨울을 따뜻하게 살았다는 뜻이다. 공동묘지 납골당에 먼저 가신 영혼들께 어쩌다가 먼저 가셨는지 여쭤보고 싶네 살아 있을때 부모 형제 노릇이나 잘 하지 생각이 다른자 들은 권력 탈환에 미쳐 불순한 사상에 이용 하려 못된 근성으로 세상을 시끄럽게 국가 를 혼란에 빠뜨리니 정신차려 애국 정신으로 하루속히 돌아가라 정부에 대한 불평 불만의 소리가 많이 들리면 그건 언론의 자유가 있다는 뜻이고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누군가 떠드는 소리가 자꾸 거슬린다면 그건 내가 들을 수 있다는 뜻이고 주차장 맨 끝 먼 곳에 겨우 빈 자리가 하나 있다면 그건 내가 걸을 수 있는데다가 차까지 가졌다는 뜻이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l 오한국의달마여! 불교의 4중 세계관 (3) 일붕의 초기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글을 두 가지만 더 보기로 하자. 실제 일붕의 초기사상은 미국으로 건너가기 전에 거의 완결된 상태로 짐작된다. 경전의 연구나 선의 수행에서나 모두 최고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게 당시의 중론이었다. 불교의 다면성多面性 가운데 문학적인 요소를 간추린 佛敎와 文學이란 글과 불교철학을 압축시킨 佛敎哲學의 四重 世界觀이란 글은 잘 정돈되고 체계화된 그의 내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글을 통해 일붕은 불교의 대중화란 신념을 점진적으로 구현하는 발판을 구축한 것이다. “모든 것은 변화합니다. 불교도 시대와 여건에 맞도록 변화하고 적응하는 가운데 시대와 조화를 이루는 슬기를 익혀야 합니다. 그래야만 범세계적인 진리로서의 영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이를 위해 남들이 꿈조차 꾸지 못하던 시절에 물설고 땅 설은 동남아와 유럽에서 공부했습니다.” 일붕이 절치부심하여 불교의 현대화를 추구하는 이유를 짧게 설명한 말이다. 뒤에 싣는 두 글은 당시 일붕이 어떤 사상의 틀을 형성했는가를 잘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다소 긴 인용이 되더라도 꼭 살필 필요가 있는 글이다. 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또한 일붕은 세상을 경악케 했던 사이비종교의 발호에 대응하는 의미에서迷信과 正信이란 글을 일간지에 싣기도 했다. 사이비종교 단체들이 신들을 비난하는 사람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해害를 끼치던 때였기 때문에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 글에서 일붕은 인륜과 도덕을 무시하고 해악을 끼치는 행위는 결코신, 그리고 정교와 사교의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성종교로서 세계적인 신앙으로 자리 잡은 종교라 할지라도 시대의 추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곤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점은 어느 종교도 마찬가지다. 즉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종교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열렬한 기독교 신앙을 가졌으면서도 당시의 목사나 선교사의 설교를 이렇게 비판했다. “금과옥조金科玉條같이 믿는 성경 가운데도 어느 시대이건 만인 모두가 받들어 행할 것이있고 너무도 맹랑하고 허황되어 돌아볼 가치가 없는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어리석은 교인들은 시대에 맞는 심금을 울리는 교리는 찾으려 하지 않고 원시시대의 신화와 같은 예수의 기적만을 가지고 떠들고 선전하고 있으니 가증스럽고 딱 한 일이다. 기독교는 이런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내부적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13일 언론브리핑에서 "남영신 총장 등 (당시)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있었다는 사람들을 포함해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한 부분에 초점 맞춰서 관련자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관련자들의 조사를 이미 마친 경찰은 나머지 관련자들도 출석 일정을 조율한 뒤 불러 조사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경찰은 다만 천공이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들렀다는 지난해 3월 공관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지는 못했다면서 해당 영상이 보관기간 규정 등을 준수해 삭제됐는지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부 전 대변인은 지난 2일 보도된 '뉴스토마토'와 인터뷰에서 "남영신 전 육군참모총장이 '지난해 3월께 천공과 김 처장이 참모총장 공관과 서울사무소를 사전 답사했다는 보고를 공관 관리관으로부터 받았다'고 얘기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일보도 같은 날 부 전 대변인의 신간 내용을 인용해 부 전 대변인이 작년 4월 1일 한 행사장 화장실에서 남 전 총장으로부터 "얼마 전 천공이 한남동 육군총장 공관과 서울사무소를 방문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지난 3일 부 전 대변인과 그의 발언을 최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계 문명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 미국에 직접 뛰어들어 미국을 배우고 한국의 불교를 알리겠다는 각오로 이미 기반이 다져진 한국을 떠날 준비를 하던 일붕은 지나온 세월을 되돌아 보았다. 참으로 바쁘게 살아온 세월이었다. 한날한시도 헛되이 보낼 틈이 없이 늘 시간에 쫓기면서 보낸 지난 50년이 주마등처럼 스쳐갔고, 잊을 수 없는 장면들이 파노라마처럼 전개되었다. 가슴이 찢어지고 창자가 끊어진다는 애 별이고(別離苦)의 고통을 이겨내고 세속 떠나 부처님 품 안에 안긴 32년 전 일이 마치 어제처럼 선명하게 떠올랐고, 스승을 찾아 뭍으로 나와 지리산 〈화엄사>로 들어간 시절이 생생하게 재현되었다. <화엄사>에 계시던 진진응 대강백의 제자를 따라 전주<위봉사>로 가 유춘담 스님으로부터 일붕(一鵬)이란 법호(法號)를 받던 일, <위봉사>의 살림이 어렵게 되어 강원이 폐지되자 춘담스님이 마련해준 학비와 소개장을 들고 서울로 올라와 동대문에 있던 <개운사 대원암>의 박한영 대강백의 수제자가 된 일,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 선방의 강사 초청을 받고도 부족한 부분을 더 채우기 위해 김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