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글 독경讀經은 시대와 종교를 초월한 천계의 소리로, 불원의 음성이자 우리의 심금을 울리는 더불어 함께하는 명서이다. 이는 단순히 종교적인 행위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영혼과 정신에 깊은 울림을 주는 특별한 경험이다. 독경의 역사는 매우 깊다.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서 경전은 신성한 문서로 여겨지며, 이를 소리 내어 읽는 행위는 그 자체로 신성한 의식으로 간주된다. 불교에서는 불경을 읽는 것이 중생의 구제를 위한 중요한 수행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불경 독송은 수행자뿐만 아니라 듣는 이들에게도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준다. 독경은 종교적인 경계를 넘어선다. 예를 들어, 기독교에서 성경을 낭독하는 것, 이슬람에서 꾸란을 암송하는 것, 힌두교에서 베다를 읽는 것 모두 독경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모든 독경의 행위는 각기 다른 신앙과 전통을 지니고 있지만, 그 본질은 동일합니다. 인간이 신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자신의 내면을 정화하며, 공동체와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있다. 독경의 소리는 천계의 소리로 비유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음성의 전달을 넘어선, 신성하고도 영적인 에너지를 담고 있다. 독경을 통해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적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옛날 옛적, 아득한 산속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 있었다. 이 마을 사람들은 대대로 평화롭게 살았지만, 삶의 고통과 시련에 시달리며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지 늘 고민하곤 했다. 어느 날, 마을에는 이상한 소문이 퍼졌다. 먼 산꼭대기에 '담화풍월'이라 불리는 신비로운 인물이 살고 있다는 이야기였다. 담화풍월은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으며, 인생의 모든 비밀을 알고 있는 전설적인 존재라 했다. 마을의 젊은 청년인 존은 이 소문을 듣고 담화풍월을 찾아 나섰다. 여러 날 동안 산을 오르내리며 고생한 끝에, 존은 마침내 담화풍월을 만날 수 있었다. 담화풍월은 깊은 눈을 가진 노인이었고, 고요한 미소를 띄고 있었다. 존은 담화풍월에게 물었다. "존경하는 스승님, 어떻게 하면 인생을 더 의미있고 소중하게 살 수 있을까요?" 담화풍월은 천천히 입을 열었다. "삶이란 소중한 것이란다.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라.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수행하는 길이다. 고통을 외면하면 더 큰 고통이 뒤따를 것이다. 삶의 핵심은 자주성에 있으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기 아상을 버려야 한다." 존은 그 말을 가슴 깊이 새겼다. "어떻게 하면 깨달음을 얻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성당(聖堂)이라는 명칭 그 일대를 옛날에는 성댕이, 상댕이라고 불리다가 1910년대부터 성당동이라 불렸는데, 동네 이름을 따서 성당못이라 불렀다. 이곳 성당못이 있던 자리는 조선 중엽 채씨 성을 가진 판서가 살던 집터였는데 국풍(나라에서 지정한 공인 풍수)이 이곳을 지나다가 보니 그 자리가 장차 임금이 태어날 명당이라하여 나라에서 집을 짓지 못하도록 연못을 만든 것이 오늘날의 성당못이 되었다고 한다. 성당못두리길의 의미 두류산은 역사적 기록에 의하면 산이 두리뭉실 펼쳐져 있다고 해서 '두리산' 이라고 불렸는데, 이름을 한자화 시키면서 두류산으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대구시 두류공원에서는 성당을 찾는 시민들이 물과 더욱 가까이에서 산책하며 연못의 풍광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도록 데크길을 조성하였는데,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인 성당못과 그 옆에 자리잡은 두류산의 정기를 받으며 걷는 길이라 하여 '성당못 두리길'이라 명칭하였다. 대구광역시 두류공원관리사무소 성당면적 42,000㎡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 1. 새벽의 길을 떠나다. 동틀 무렵, 스님 담화는 작은 사찰에서 짐을 꾸렸다. 하늘을 보니 먹구름이 가득했고, 하얀 안개 속에 비와 바람이 섞여 봄을 재촉하고 있었다. 담화는 걸망 하나와 발우 하나를 챙기고는 또다시 산길을 떠났다. "오늘도 수행을 위해 나선다, " 담화는 속으로 다짐하며 깊은 산속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2. 심연을 찾아 담화는 걷고 또 걸었다. 때로는 산에서 산으로 넘나들며 마음을 씻고 업을 씻기 위해 끊임없이 걸었다. 그의 얼굴은 세월의 때와 얼룩으로 가득했지만, 그 마음은 점점 더 맑아지고 있었다. "찰나를 찾아 심연을 찾아," 그는 마음속으로 되뇌었다. 수행의 길은 언제나 험난했지만, 그에게는 부처의 가르침이 있었다. 3. 무명의 저편에서 어느 깊은 밤, 담화는 작은 계곡에 도착했다. 아직 미명의 시간, 어둠 속에서 물소리가 고요하게 흘렀다. 그는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잠시 걸음을 멈추었다. 어디선가 승냥이의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저승냥이도 길을 찾고 있는 것일까?" 담화는 혼자 중얼거렸다. 4. 승냥이와의 만남 담화는 울음소리가 나는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얼마 가지 않아, 그는 부상을 입은 작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국가유산청은 (재)불교문화유산연구소와 공동 추진하고 있는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와 '한국의 고승 진영 정밀 학술조사' 사업의 2023년 조사 결과 보고서를 각각 발간했다.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5년에 걸쳐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에는 2023년 대구·경북 지역 9개 주요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국보·보물 및 시도유형문화유산 등의 불단과 장엄구 총 35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문학적·보존과학적 조사와 원형 디지털 기록화 및 안전 점검 등의 결과를 담았다. 조사 결과, '경산 환성사 대웅전' 불단에서 불단 제작연도(1580년)를 확인할 수 있는 묵서 기록을 발견했으며,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불단 내부에서는 목조불단과 소조대좌가 확인됐고, 외부 불단과 내부 불단 사이에서는 녹유전이 발견됐다. 이외에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불단의 내부에서는 불단을 제작한 장인 등에 대한 기록을 파악할 수 있는 묵서도 발견되는 등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다양한 조사 결과가 보고서에 수록됐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인천·경기, 강원 지역 11개 사찰의 불단 12점과 장엄구 16점에 대하여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완도군은 6월 11일 '완도 장좌리사지 시굴 조사 결과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완도 장좌리사지는 완도읍 장좌리 산16-289에 위치한 사찰 터로 완도 지역에서는 중암사지로 불리고 있으며, 국가유산청 발굴 허가를 받아 (재)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지난 5월 21일부터 29일까지 시굴 조사를 진행했다. 완도 장좌리사지는 2011년 국가유산청 ‘폐사지 현황 조사 사업’을 거쳐 2024년 국가유산청 ‘중요 폐사지 시·발굴 조사 사업’에 선정되어 지난 5월 21부터 시굴 조사를 실시했다. 시굴 조사 결과 현장 설명회에는 신우철 완도군수, 불교문화재연구소장 호암 스님, 김성배 국립해양유산연구소장, 추강래 완도문화원장, 박봉욱 장보고연구회 이사장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시굴 조사 결과, 건물지와 석축, 담장 등이 확인됐으며, 기와편, 백자편, 도기편 등이 출토됐다. 출토된 유물 중 고려시대 기와 문양인 어골문과 격자문이 결합된 복합문이 확인되어 절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시대 후기까지 운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절터는 석축을 축조하고 건물을 배치하는 산지가람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중심 영역과 생활 영역이 지형에 맞춰 구성된 모습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전남 여수시 남면 심장리에 자리한 낭만의 섬 금오도를 가기위해서는 서울역에서 KTX타고 여수엑스포역에 도착하면. 엑스포역 건너편에서 렌트카를 빌려 금오도 비령길 여객선 터미널로 이동하여 금오도행 배편으로 20분 후면 금오도 여천 여객선 터미널에 도착한다. 금오도의 면적은 약 26.99㎢, 인구 2,188명(2001년 기준)이다. 해안선 길이 64.5㎞이다. 여수만 남서쪽에 있으며, 북쪽에 돌산도, 북서쪽에 개도, 남쪽에 소리도가 있다. 섬의 지형이 자라를 닮았다 하여 큰 자라라는 뜻으로 금오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396년까지는 군천면에 소속되었고, 1479년에는 전라좌수영의 관할하에 있다가, 1896년에 돌산군 금오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에는 여수군에 소속되었고, 1917년 금오면이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에 여천군에 편입되었고, 1998년에 여수시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른다. 최고점은 북쪽에 있는 대대산(382m)이며, 그밖에도 남쪽에 망산(344m), 동쪽의 옥녀봉(261m) 등 산이 많다. 대부분이 암석해안이며, 소규모의 만과 갑이 발달해 비교적 해안선의 드나듦이 심하다. 1월 평균기온 1.1℃ 내외, 8월 평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옛날 어느 고을에 부자 한 사람 있었다. 곁에 있는 사람들은 그의 환심을 사려고 그에게 갖은 아첨을 다 떨었다. 심지어 그 부자가 가래침을 뱉으면 그의 시종들은 얼른 달려가 그것을 밟아 문지르는 일까지도 서슴치 않았다. 그런데 어떤 미련한 시종 한 사람이 자기도 그렇게 하여 그의 눈에 들고자 했으나 미처 자기 차례가 돌아오지 않자 이렇게 생각했다. “그가 침을 뱉을 때마다 나보다 날쌘 사람들이 먼저 달려가 그것을 밟아 버릴 테니, 나는 그가 침을 뱉으려 할 때 얼른 밟아 버려야겠다.” 그때 마침 부자가 가래침을 뱉으려 했다. 미련한 그 시중은 얼른 발을 들어 부자의 입을 걷어 차 버렸다. 부자의 입술이 터지고 이가 부러졌다. 부자는 화를 벌컥 내며 그를 꾸짖었다. “너 이놈, 어찌 감히 내 입을 차느냐?” 어리석은 시종은 대답했다. “만일 주인어른의 침이 입에서 나와 땅에 떨어지면 곁에 사람들이 얼른 밟아 버리기 때문에 제게는 차례가 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리 입에서 나오려 할 때 먼저 밟으려고 했던 것이 그만 그렇게 되었습니다.” - 백유경 -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부처님이 사밧티의 교외 제타숲의 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다. 두 비구 사이에 다툼이 일어나 한 비구가 거듭 사과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비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점차 소란해지자 비구들은 사과하는 비구를 종용해 마침내 부처님에게 그 전말을 고했다.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타일렀다. “비구들이여, 죄를 범하고 인정치 않는 잘못과 마찬가지로 용서를 비는 데도 받아들이지 않는 잘못도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이다. 죄를 인정하고 그 잘못을 빌면 그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면 이 두 사람은 함께 현명한 사람이라 불리워진다.” 상응부경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모든 무예에 뛰어난 어떤 무사가 산 속에 살고 있었다. 그에게는 예쁜 딸이 하나 있어 혼기를 맞아 사윗감을 고르고 있었다. 그는 귀여운 딸의 남편감으로 자신과 같이 무예에 능한 청년을 택할 생각이었다. 바로 그 때 두 청년이 무술을 닦으려고 산 속을 찾아와 제자가 되었다. 그는 두 제자에게 있는 정성을 다해 무예를 가르쳤다. 한 청년은 원래부터 소질이 있어 숙달이 빠를 뿐 아니라 한 청년은 반대로 오랜 세월이 흘러도 오직 한 가지 무예만을 익히는데 그쳤다. 결국 다섯 가지의 무예를 익힌 청년이 사위가 되었다. 무예에 미숙한 청년은 크게 실망하고 오히려 사위가 된 청년에게 깊은 원망을 품고 스승의 집을 나와서 산적들의 두목이 되었다. 그리고 항상 사위가 된 청년에게 복수할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사위가 된 청년은 복수를 하려고 때를 기다리고 있는 것도 모르고 어느 날 신부와 함께 마차를 타고 산적들이 있는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그런데 앞서 가던 많은 상인들이 산 속에 이르자 갑자기 가던 길을 멈추고 서성거리고 있었다. 청년은 그들에게 “당신들은 무슨 일로 걸음을 멈추었소?” 하고 물으니, 상인들은, “가고 싶지만 산적들이 무서워 못
By Jon Lee |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Yoon Suk-yeol will pay a state visit to Uzbekistan at the invitation of President Shavkat Mirziyoyev on 13-15 June. Established on 29 January 1992, Uzbek-South Korean relations have become an example of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In more than thirty years of interaction, the relations have developed and strengthened, passing through several key milestones. In 2006, the Joint Declaration on Strategic Partnership was signed, and in 2019, the relationship was elevated to a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These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한-벨라루스 수교 32주년을 기념하여 외교저널과 UN 저널은 주한 벨라루스 대사관과 공동으로 개최한 문화교류 행사가 오는 7월 3일~8일까지 인사동 마루아트센타 3층 그랜드관에서 열린다. 특히 이번 교류전은 벨라루스의 관광 사진 20여 점과 벨라루스 출신의 색채 마술사 마르크 샤갈의 작품 11여점과 한국 민화작가 30명의 작품이 함께 전시된다. 색채의 마술사"라고 불리는 프랑스 표현주의 화가이다. 마르크 샤갈(1887-1985)은 입체파, 야수파, 초현실주의의 요소를 결합한 독특하고 다채로운 스타일로 유명한 화가이다. 그는 벨라루스 리오즈노 지역에서 태어났다. 샤갈의 유년시절과 유대인의 유산은 그의 작품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벨라루스 비텝스크에서 보낸 어린 시절은 그의 작품의 자주 등장하며, 고향의 풍경은 "도시 위에서", "파란 집", "산책"과 같은 그의 가장 유명한 그림에서 볼 수 있다. 샤걀은 사랑, 향수, 유대인 민속을 주제로 날아다니는 사람, 동물, 마을 풍경 등 환상적인 이미지를 자주 선보이는 멋진 그림으로 유명하다. 샤갈의 작품은 회화, 스테인드글라스, 도자기, 무대장식 등 다양한 장르에서 선보였습니다. '나와 마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생방송 [LIVE] 한-카자흐스탄 MOU 서명식 및 공동언론발표 영상출처-대통령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LIVE]윤석열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 방문 공식환영식 영상출처 -대통령실
Lee Jon-young | President Yoon Suk-yeol paid a state visit to Turkmenistan at the invitation of His Excellency Serdar Berdimuhamedov,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Turkmenistan on June 10-11, 2024. The two leaders discussed ways to expand and deepen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ields, as well as regional and international issues of common interest during a summit held on June 10, 2024 in a friendly and warm atmosphere. The two leaders decided to further develop the bilateral and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 to promote common prosperity. President Serdar Berdi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