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충남도는 10일 도청 외부접견실에서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재단 이웃돕기 물품 전달식’을 개최했다. 이번 전달식에는 김태흠 지사와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원장 성해 스님, 성우종 충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김 지사는 한국불교 태고종 사회복지재단으로부터 720만 원 상당의 라면 500상자를 기탁받았다. 기탁 물품은 충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충남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푸드뱅크에 배분하고 도내 저소득층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이웃을 위해 따뜻한 나눔을 실천한 한국불교 태고종에 감사를 전하고 기탁 물품은 지역 곳곳 어려운 이웃을 지원하는 데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충북 단양군소재 구인사에서 천태종을 사랑하는 평신도 모임 (이하 천사모)신도 300여명이 모여 천태종단을 향한 자성과 규명집회를 지난 9일 가졌다. 이날 집회에서 천사모 신도 300여명은 상월원각대조사의 창건이념과 천태법통 수호하자와 해영사, 삼광사 조사전 건립 비리 감사원은 즉각 감사 규명하라는 내용으로 집회를 이어갔다. 또한 시주금으로 세운 금강대학교 파탄이 웬말이냐! 해영사 삼광사 조사전 건립비리 조사하라! 명장사사태 책임자는 전국 신도들에게 사과하라 등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진행했다. 천사모 공동대표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천태종 문제점과 개선방향 향후 집회 등 계획에 대해 들었다. “천태종단 극소수 지도자급 승려들이 종단과 신도들은 아랑곳 없이 사리사욕에 혈안이 되어 종단을 망치고 있으며 신도들의 종정에 대한 권위와 신뢰가 절대적인 종단기풍에 역행하여 노골적으로 종정 스님을 무시하고 자기들이 종정까지 넘본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음 극소수 사리사욕으로 밥그릇 싸움(특히 금강대학교)으로 종단이 무너질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이들의 악행을 아시는 종정 스님의 결단과 뜻있는 스님들의 신도들이 합심해서 극소수 승려들을 몰아내지 않고는 해결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국가유산청은 왕의 초상인 어진을 봉안한 진전(眞殿) 사찰인 봉업사(경기 안성시)의 변천양상과 구조 및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화유산인 '안성 봉업사지'와 삼한·삼국시대 동아시아 해상교류의 거점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고성 동외동 유적'을 각각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 '안성 봉업사지'는 고려 광종(949~975년) 때 왕권 강화를 위해 태조 왕건의 어진을 봉안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고려사'에 공민왕 12년(1363년) 왕이 봉업사에 들러 태조 왕건의 어진을 알현한 기록이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석탑만 남아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조선 초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보물) 주변에서 발견된 청동 향로(보물)와 청동 북(보물) 등에서 봉업사(奉業寺)라는 글자가 확인됐으며, 1997년부터 2023년까지 5차례에 걸쳐 진행된 발굴조사로 중심사역과 진전영역의 외곽 담장을 확인했다. 특히, 진전영역은 중심 건물지와 중정 주변으로 회랑이 배치되는 등 고려시대 왕실 건축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어진을 봉안한 것으로 전해지는 많은 진전사찰 중에 이처럼 고고학적으로 구조적 특징이 규명된
UNJournal Jon Lee | First lady Kim Keon-hee hosted the Korea-Africa Summit Spouses’ Program at the Blue House on June 4. The event was organized by Mrs. Kim to invite the spouses of the heads of state of the 13 African countries visiting Korea for the Korea-Africa Summit to sha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ntinue exchanges. In her remarks at the luncheon, Mrs. Kim said, “Korea has experienced miraculous growth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rising from the ashes of war more than 60 years ago, and Africa is also gaining global attention as the fastest-growing continent. This is the first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2024년도 전반기 라오스국립대학교 학생중 한국ㆍ라오스교육문화원에서 선발한 학생에게 장학금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열린 장학금 전달식은 한국어 학생 10명과 건축과 10명 총 20명을 선발하여 성적이 우수한 학생과 생활환경이 어려운 학생으로 선발하여 1인당 200만킵스씩을 장학금으로 전달했다. 이번 장학금 후원은 10년째 개인적으로 후원하고 있는 효종스님이 전액 후원해 이루어 졌다.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대구지방교정청(청장 김동현)은 현충일을 앞두고 5일 대회의실에서 '병역명문가 시상식'을 개최하고, 병역이행의 귀감이 되는 병역명문가 45가문을 표창했다. '병역명문가'란 1대 할아버지부터 손자까지 3대 가족 모두가 현역 복무 등을 명예롭게 마친 가문을 말한다. 이날 시상식 이후 김동현 대구지방교정청장을 비롯한 간부직원 및 수상자 20여 명은 충혼탑을 참배하고, 호국영령의 넋을 기렸다. 김동현 대구지방교정청장은 "제69회 현충일을 맞아 대구지방교정청 직원과 함께 충혼탑을 방문한 것에 대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우리 역사와 평화의 소중함을 기억하며, 숭고한 희생정신을 보여준 선배 교도관과 순직 영령들의 고결한 정신을 되새기자"고 말했다. 대구지방교정청 직원들은 이번 참배를 통해 자유대한민국 수호를 위해 목숨 바친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을 후세에 널리 기릴 수 있도록 공무원으로서 맡은 소명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지난 6월 3일 오전 서울 엠버서더 풀만호텔에서, "삼향사수 상연 호남" 행사인 호난 문화 여행 한국 추진 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서 호남성 장덕, 소양, 항양을 대표로 하여, 자연의 아름다움, 깊은 역사와 문화유산, 풍부한 여행 자원 등을 한국 국민들에게 선보였다. 이는 중한 양국의 문화 교류와 협력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는 한.중 양국의 문화 교류와 "조원규 화푸여행사 대표"와 함께 ,협력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장잉춘 중국 공산당 후난성위원회 상무위원 ,후난성 인민 정부 상무부성장과 한국 박창식 전)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참석하여 환영사를 전했으며, 이외 조윤정 빅토리콘텐츠 대표, 배종찬 한국KBS시사본부 정치평론가 본부장, 백주현 학국관광공사 중국팀 차장, 선샤우강 주한 중국대사관 문화참사관 서울중국문화센터주임, 장뤄위 중국주서울광광사무소 소장, 한국 여행업계 대표들과 한국 미디어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홍보 행사는 "삼향사수 상연 호남"을 주제로 하여, 아름다운 홍보 영상 재생, 그림과 글이 조화를 이룬 PPT 전시, 비유산 공연, 문화창작 제품 전시 등 다양한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주식회사 굿콜 & 주식회사 에이티랩 이원중 회장은 친환경 유기농 인증받은 비료(영양제)와 병 해충 제를 자체 특허와 기술을 가지고 고품질의 농산물(기능성 농산물) 재배와 가공산업(메디푸드)으로 대한민국 곳곳에서 지자체와의 협력사업과 지역농협과의 기능성 농산물 재배와 유통사업을 한국 한의약진흥원과의 기능성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사업 (동물실험) 원광 한방대학병원과의 유효성 평가사업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K-푸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현재에 발맞춰 K-슈퍼 푸드사업으로 농산물의 과학적인 효과 규명을 통해 공식화된 인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기존 비타민 미네랄과 항산화 물질 등을 주요 효과로 인정받던 세계 10대 슈퍼 푸드보다 어떠한 농작물에 사용해도 기능성 적인 측면에서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되고 내병성이 강해지며 특히 자체 보유 중인 기술 중 하나인 유황의 독성을 제독하는 특허기술과 제독 유황을 활용한 비료의 특허기술로 보다 좋은 농업경영 환경의 개선과 무농약 성분으로 자연환경에 해가 없으며 건강에 좋은 프리미엄 농산물을 재배부터 가공, 유통까지 저비용 고효율의 경쟁력 있는 메디푸드와 메디푸드테크산업을 전라남도 장흥군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LIVE]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 영상출처-대통령실
UNJournal kayla Lee | President Yoon Suk-yeol on June 3 held a series of bilateral meetings with African leaders who are in South Korea for the Korea-Africa Summit to discuss issues of mutual interest. From morning to afternoon, Yoon held bilateral talks with the leaders of 10 Afric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office. In the morning, Yoon held separate meetings with six African leaders: Lesotho Prime Minister Ntsokoane Samuel Matekane, Côte d'Ivoire President Alassane Ouattara, Mauritius President Prithvirajsing Roopun, Zimbabwe President Emmerson Dambudzo Mnangagwa, Togo Presid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영동군 영동읍 천마산에 자리 잡은 중화사(주지 철우)는 조선시대 불교 유물인 '현왕도'(現王圖)를 환수했다고 2일 밝혔다. 이 '현왕도'(가로 70㎝·세로 113㎝)는 사후 세계에서 재판받는 모습을 그린 불화로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한다. 제작 시기는 1790년이다. 이 불화는 중화사 재산목록에 들어있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사라졌다. 이후 2011년 한 골동품 수집상에 의해 미국 경매시장에서 발견돼 국내로 들어왔다. 용화사는 그림 환수를 위해 수집상과 오랜 협상을 했으나, 매매대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천우 주지의 제안으로 시작한 '2024년 천일기도'를 하면서 신도들의 시주와 각계의 도움을 받아 매매대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용화사는 지난 22일 이 그림을 원래 있던 자리에 봉안한 뒤 신도들과 함께 이를 기념하는 천일기도를 하고 있다. '현왕도'는 전국의 사찰 등에 100점가량 보존돼 있으나 대부분 19세기 이후 작품이다. 18세기 작품은 이번에 환수한 그림을 포함해 12점뿐인 것으로 전해진다. 중화사 '현왕도'는 제작 연대(1790년), 봉안처, 제작 화승, 당시 불사에 관여한 스님과 시주자 명단을 기록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전북 장수군이 역사문화권 발굴조사 지원사업으로 추진한 장수 개안사지 2차 발굴조사에서 상당한 규모의 사찰 건물터 전모가 드러났다. 3일 장수군에 따르면 전북특별자치도와 공동으로 추진한 역사문화권 발굴조사 지원사업을 통해 장계면 삼봉리 탑동마을에 위치한 개안사지에 대한 지난 1차 발굴조사에서 막새기와와 귀면와 등 중요유물이 출토됐고, 여러 유물을 통해 후백제와 연관성도 확인되고 있다. 또한 조선문화유산연구원(원장 이택구)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이번 2차 조사를 통해 후백제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건물지 8동, 담장 2기, 석축 6기, 축대, 보도시설, 배수로, 우물, 아귀구(餓鬼口) 등이 추가로 발굴됐다. 아귀구는 불교용어로 사찰에 아귀(귀신)를 다스리기 위해 음식(정제된 물)을 주는 구멍을 말한다. 특히 이번 발굴조사에서 사찰건물의 시설과 공간이 일부 확인됐고, 보도시설은 남북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길게 조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보도시설을 중심으로 동쪽에 다수의 건물이 나타났고,온돌 시설과 우물 1기, 스님들이 머무는 공간으로 추정되는 승방지의 공간구성과 실체도 드러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현재 확인된 건물보다 선행된 건물의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은사 지흥대강백을 추모하며 “한국불교가 다시 한번 되살아나서 중흥할 수 있는 계기를 저로부터 마련하겠다"는 원력을 밝히고 "한국불교가 세계불교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저와 함께 전심전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6월 3일 담양 용흥사(주지 덕유스님)에서 열린 백운당(白雲堂) 지흥(知興)대강백 4주기 추모다례재에서 이같이 밝혔다. 백운당 지흥대강백은 1934년 전남 장성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만암대종사 조카이자 인곡대종사 사촌형이었다. 부친이 머물렀던 화방사에서 유년생활을 하던 스님은 1944년 만암스님 맏상좌 석상스님을 은사로 백양사에서 출가했다. 만암대종사와 용성대종사의 친선조약에 따라, 만암대종사는 백운스님을 동산스님 문하로 보내고, 대신 범어사 강사로 있던 석산스님을 백양사로 오게했다. 범어사로 간 백운스님은 동산스님을 모시고 수학하다가 1955년 통도사에서 운허 강백 지도하에 월운, 지관, 홍법스님과 동문수학했다. 해인사가 설립한 마산대학에 입학해 월운, 지관스님과 공부했고, 1962년 졸업했다. 제방에서 참선수행을 하다 동산스님과 함께 정화불사에 동참했다. 1971년~19
법왕청신문 이준석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은 오는 27일부터 28일까지 '2024년도 문화재 다량소장처 소장자·관리자 현장교육'을 진행한다. 불교중앙박물관이 국가유산청과 협력해 문화유산 다량소장처 사찰 스님·학예연구사들을 대상으로 문화유산 보존 관리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 운영하는 교육이다. 박물관과 문화유산 다량소장처 견학과 성보 답사로 구성된다. 올해 교육은 '불교회화'를 주제로 진행된다. 오는 27일 김순아 직지성보박물관 학예실장이 불화 보존관리 방안을 주제로 사례 중심의 강의를 진행한다. 배영일 마곡사성보박물관관은 마곡사 불화와 화승 관계에 대해 강의한다. 오는 28일 마곡사 말사 갑사 답사와 국립공주박물관 전시실·수장고 견학이 진행된다. 갑사에서는 봉안된 불화를 살펴보고, 전각별 봉안 불화 특징과 도상을 이해하기 위한 강의가 열린다. 국립공주박물관 수장시설을 살펴보고, 올바른 보존관리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알아본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문경새재 도립공원 제1관문 뒤에 위치한 충렬사에서 2024년 6월 3일(음4월27일), 임진왜란 당시 문경현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저항하다 장렬히 순국한 신길원 현감을 기리기 위한 향사가 봉행됐다. 이날 향사는 문경향교(전교 김기동)주관으로 초헌관은 신현국 문경시장, 아헌관은 황재용 문경시의회 의장, 종헌관은 신학균 유학이 각각 맡아 지역 유림과 주민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신길원 현감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경초(慶初)이다. 조선 선조23년(1590)에 문경현감으로 부임하여 백성을 위하여 선정을 베풀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문경현을 사수하다가 임진년(1592) 4월27일 장렬히 순국했다. 나라에서는 좌승지로 증직하여 그의 충렬을 기렸으며, 경상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45호인 “신길원현감 충렬비”는 숙종32년(1706)에 그의 충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나라에서 세웠다. 이날 초헌관으로 향사를 봉행한 신현국 시장은 “호국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 신길원 현감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뜻깊은 자리였고 우리 지역에도 이러한 충신이 계셔서 무척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