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황금으로 가득 찬 방을 발견했다. 그는 황금의 유혹에 빠져 끝없이 욕심을 부리기 시작했다. 황금을 더 많이 가지려고 하다 보니, 결국 그 방에 갇히게 되어 나올 수 없었다. 진은 동굴을 탐험하던 중 어둠 속에서 어떤 소리가 들리자 화를 내며 그 소리의 정체를 찾아 나섰다. 그는 결국 동굴 속에서 괴물과 마주쳤고, 괴물과 싸우다가 분노에 사로잡혀 무모하게 공격했다. 결국 그는 괴물에게 잡혀 동굴 깊은 곳에 갇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치는 동굴의 가장 깊은 곳에 도달했다. 그는 주변이 너무 어두워 아무것도 볼 수 없었고, 어디로 가야 할지도 알 수 없었습니다. 치는 겁에 질려 이리저리 헤매기만 하다. 결국 그는 길을 잃고 동굴 안에서 영원히 방황하게 되었다. 그렇게 시간이 흘렀고, 마을 사람들은 이들 세 친구가 동굴에서 돌아오지 않자 걱정하기 시작했습니다. 한 현자가 이 소식을 듣고 동굴로 찾아갔다. 현자는 동굴 앞에서 깊은 명상에 잠긴 후, 세 친구가 겪은 일을 알게 되었다. 현자는 마을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탐은 욕심 때문에, 진은 분노 때문에, 치는 어리석음 때문에 길을 잃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탐욕, 분노, 어리석음을 이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여러분, 오늘은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고통을 어떻게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모든 경전의 가르침들은 인간이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음을 맞이하는 이 과정을 지혜롭게 극복하는 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부처님께서 이 많은 경전을 직접 설하신 것은 아닙니다. 그 중에는 제자들의 말씀도 있고, 누대에 걸쳐 많은 선지식들이 집대성한 것들도 있다. 경전은 인간의 고뇌, 외로움, 분노, 행복 등 진리의 말씀들로 가득합니다. 그중 하나가 백유경百喩經이다. 이 경전은 5세기경 인도의 승려인 상가세나僧伽斯那 스님이 쓴 (샤타바다나수트라)를 그의 제자인 구나브리티가 한역漢譯하여 백유경이라고 이름 지은 것입니다. 이 경전에는 재미있는 설화와 비유 등 아흔여덟 가지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오늘은 불자님들께 그중 한 가지 이야기를 소개하겠습니다. 백유경 이야기: 어리석은 사람과 귀중한 보석 옛날 어느 마을에 어리석은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우연히 길을 걷다가 귀중한 보석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는 이 보석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 몰랐다. 그저 예쁜 돌멩이 정도로 생각한 그는 보석을 아무렇게나 다루며 여기저기 던지기도 하고, 때로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깊은 산속, 아름다운 자연 속에 자리한 작은 사찰이 있었다. 이 사찰에는 희망이라는 이름의 스님이 살고 있었다. 희망 스님은 항상 평온하고 따뜻한 미소를 지니고 있었으며, 마을 사람들은 그의 지혜를 듣기 위해 자주 사찰을 찾곤 했다.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은 삶의 고단함과 불만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들은 더 많은 재산, 더 높은 지위, 더 많은 복을 바랐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스님을 찾아갔다. 스님은 마을 사람들을 환영하며 그들을 사찰의 정원으로 안내했다. 정원에는 반쯤 피어난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해 있었다. 스님은 사람들을 앉히고 조용히 말문을 열었다. “여러분, 술은 반취半醉, 꽃은 반개半開, 복은 반복半福이라고 했습니다. 술을 마시되 만취滿醉하면 꼴 사납고, 꽃도 만개滿開 상태보다 반쯤 피었을 때가 더 아름답다. 사람 사는 이치도 이와 다를 바 없다.” 마을 사람들은 스님의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스님은 계속해서 말을 이어갔다. “충분한 만족이란 있기도 어렵고, 혹 그렇다면 인생이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구합九合은 모자라고, 십합十合은 넘친다는 옛 속담이 있듯이 반 정도의 복에 만족할 줄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글 일정대종사 / 옛날 옛적, 깊은 숲 속의 작은 마을에는 다섯 아이들이 살고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지혜, 자비, 용기, 평화, 그리고 행복이었다. 어느 날, 마을에 사는 지혜로운 스님 희망이 아이들을 불러 모았다. "얘들아, 오늘 나는 너희에게 삼보의 공덕과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해 주려 한다. 삼보란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를 말한다. 자,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첫 번째 이야기: 불보佛寶의 공덕 어느 마을에 한 아이가 살고 있었다. 그의 이름은 지혜였다. 지혜는 항상 고민이 많았다. 친구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어떻게 하면 모두가 행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곤 했다. 어느 날, 지혜는 마을을 떠나 산속 깊은 곳에 있는 고요한 절에 갔다. 절 안에는 부처님의 아름다운 상이 모셔져 있었다. 지혜는 부처님 앞에 앉아 마음을 가라앉히고 기도를 시작했다. 그 순간, 부처님의 자비로운 미소가 지혜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지혜야, 나의 가르침을 따라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모든 생명을 사랑하라. 그러면 너의 고민은 사라질 것이다.“ 지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마음속 깊이 새겼다. 그는 다시 마을로 돌아와 친구들에게 부처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 고요한 산골 사찰 / 옛날, 한 산골 깊숙한 곳에 작은 사찰이 있었다. 그 사찰은 아름다운 풍경 속에 자리 잡고 있었고, 사방에는 푸른 산과 맑은 계곡이 흐르고 있었다. 사찰에는 마음씨 좋은 스님이 계셨고, 스님은 작은 밭에서 감자를 재배하고있다. 2. 감자 수확의 기쁨 / 어느 여름날, 스님은 신도들과 함께 감자를 수확했다. 햇볕이 따뜻하게 내리쬐는 날, 모두가 기쁨에 차서 감자를 캐고 있었다. 신도들은 수확한 감자를 보며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3. 스님의 감자 이야기 / 수확을 마친 후, 스님은 신도들에게 감자를 나누어 주며 감자의 효능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여러분, 감자에는 정말 놀라운 효능이 많다. 감자에 들어있는 녹말 성분은 우리의 위를 보호해준다. 아침 공복에 감자를 생으로 갈아 마시면 위궤양과 위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4. 감자의 효능 / 스님의 설명에 신도들은 귀를 기울였다. "또한 감자는 피부미용에도 아주 좋다. 감자 팩을 하면 피부가 더 밝고 건강해질 것이다. 그리고 감자는 빈혈과 변비를 예방해주며, 면역력을 강화해준다. 고혈압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니, 감자는 진정 보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들 / 일정대종사 / 옛날 어느 깊은 산속에 일정라는 고승이 살고 있었다. 일정 스님은 그의 죽비 소리로 유명했다. 그의 죽비 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니었다. 그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맑아지고, 지혜가 열리는 기적의 소리라 했다. 하루는 마을에 큰 문제가 생겼다. 사람들은 작은 일에도 크게 고민하고, 쉽게 불평했다. 어떤 이는 사소한 일로 화를 내고, 어떤 이는 작은 고민으로 밤잠을 설치며 지옥 같은 나날을 보냈다. 그러던 중, 마을 사람들은 일정스님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다. 스님은 마을 사람들을 모아 놓고 미소를 지으며 죽비를 쳤다. "찰칵!" 순간 마을 사람들은 귀를 기울였지만, 아무런 변화도 느끼지 못했다. 스님은 다시 죽비를 쳤다. "찰칵!" 여전히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마을 사람들은 당황하여 물었다. "스님, 이 죽비 소리가 정말 효과가 있는 것입니까? 우리는 여전히 고민 속에 있습니다." 일정 스님은 웃으며 대답했다. "한 생각을 되돌리면 안 되는 것도 되는 법이네. 그런데 자네들은 그 한 생각을 돌리지 못해 스스로 지옥을 만들고 있지 않은가?" 마을 사람들은 멍하니 스님의 말을 들었다. 스님은 다시 한 번 죽비를 치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일정 대종사의 오늘의 법문 / 옛날 어느 작은 마을에, 진정한 부자의 삶을 사는 법을 가르치는 현명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의 이름은 선생님이었고,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를 존경했다. 그는 항상 겸손하고 소박하게, 그러나 누구보다도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몸소 보여주었다. 하루는, 마을의 젊은이가 선생님을 찾아왔다. "선생님, 저는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요? 돈도 많고 성공도 했지만, 마음속의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습니다.“ 선생님은 미소를 지으며 젊은이에게 대답했다. "행복은 물질적인 풍요에서 오는 것이 아니란다. 마음속의 만족을 찾는 것이 진정한 행복의 비결이지. 이를 우리는 '지족상락知足常樂'이라 부른다. 만족함을 알면 인생이 즐거워진단다.“ 젊은이는 고개를 끄덕였지만 여전히 혼란스러워 보였다. 그래서 선생님은 그를 자신의 작은 집으로 데려갔다. 집 안에는 최소한의 가구와 몇 가지 간단한 도구만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 안은 따뜻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로 가득했다. "여기에서 나는 나의 필요를 충분히 만족시키고 살아간다," 선생님이 말했다. "나는 많은 것을 소유하지 않지만, 내가 가진 것에 만족하며 감사한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사람에는 고하高下가 없고, 마음에는 고하高下가 있다."라는 말은 불교의 가르침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불교에서 모든 존재는 평등하다고 가르친다. 이는 우리가 가진 신분이나 외형적인 지위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우리의 마음 상태와 그것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가 중요하다. 불교에서는 사람을 외형적 조건이나 사회적 위치로 판단하지 않는다. 이는 모든 존재가 본질적으로 고귀하고, 같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서부터 출발한다. 불성은 모든 존재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마음은 다르다. 마음에는 높은 경지와 낮은 경지가 있다. 불교에서는 마음이 깨끗하고 평온하며, 자비와 지혜로 가득 찰 때 높은 경지에 있다고 본다. 반대로, 마음이 탐욕, 분노, 무지로 가득 차 있을 때 낮은 경지에 있다고 한다. 이는 불교 수행의 핵심인 '수행修行'과 연결된다. 수행은 마음을 정화하고, 올바른 길로 이끄는 과정입니다. 선禪과 같은 명상이나 팔정도八正道와 같은 실천이 그 예이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더 높은 경지에 이를 수 있다. 불교 경전에서 부처님은 "모든 존재는 깨달음을 얻을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지난 19일 한국프레스센타 19층에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종교협의회 회장 취임식이 성대하게 열렸다. 이날 열린 세계종교협의회 회장 취임식은 초 종파를 떠나서 종교 관계자들이 모인 가은데 성대히 거행됐다. 이날 이춘섭 신임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지구촌 종교인들이 지혜를 모아 한데 모여 종교의 현안을 협의하고 모든 이들에게 행복에 메세지를 줄 수 있는 진정한 신앙의 메세지를 보여 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회장은 3년여 안에 세계종교올림픽을 열자고 제안했다. 또한 종교인들이 앞장서서 계파를 초월하는 시대정신을 보여줘야 종교가 국민으로 부터 사랑을 받을것이라고 말 했다. 이는 갈등과 펌혜를 일삼는 오늘날 종교의 현실이 과연 옮은 것인지 다시한번 깊은 성찰이 필요 할때다. 40년을 이끌어 온 이기철 목사 91주년 망백을 맞이하여 이 자리를 만들어준 이춘섭 회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면서 남은 생애를 초 종교연합을 위해 역량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축사에는 조계사 애련사 혜경주지스님은 축사를 통해 욕심을 네려놓고 마음을 정진해야 바른것을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서 경기 무형문화재 61호 정영도 문화재는 모든종교가 화합하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정용상 동국대학교 명예교수가 사단법인 4월회 회장에 선출됐다. 4,19 민주이념을 현창·계승 발전시키는 목적의 순수 민간단체인 사단법인 4월회는 4월 12일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91. 고려빌딩 611호 사단법인 사무국에서 임시총회를 열어 정용상 수석부회장(회장 직무대행)을 제19대 회장으로 선출했다. 정용상 회장은 현재, 동극대 명예교수, 키르키즈스탄 유라시아대학교 석좌교수, 민주평통 국민소통위원장, 한국법학교수회 상임고문, 흥사단 통일운동본부 이사회 의장, 지구와에너지 이사장, 헬프 시리아 상임대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남북과학기술교류협력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정용상 회장은,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전국법과대학장협의회 회장, 동국대학교 법과대학장·법무대학원장, 흥사단 통일운동본부 상임대표, 민화협 공동의장,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한반도평화에너지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정용상 회장은, ”4월 혁명은 우리나라 자유민주주의의 기반을 다진 민주화의 시원이며, 4월혁명세대는 한국의 산업화의 성공의 주역으로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4월혁명정신을 현창·계승·발전시켜, 선진 민주 대한민국을 세우는데 그 푯대
법왕청신문 장규호 기자 |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일 도청 접견실에서 디네시 구나와르데나 스리랑카 국무총리와 양국 간 새마을운동 등 다양한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디네시 구나와르데나 스리랑카 국무총리는 지난해 5월 경상북도지사 초대에 대한 답방으로 한국을 공식 방한했다. 스리랑카의 주요 정부 요인이 참석한 이번 방문에서 스리랑카 국무총리는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을 극찬하고 새마을운동을 자국에 확대 시행할 것을 시사했다. 스리랑카 국무총리는 3일부터 양일간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공장을 시작으로 백신 상용화 기술지원센터 방문 후 경상북도에서 기념식수, 도지사와의 공식 면담, 환영 만찬을 가졌다. 스리랑카는 인도양 핵심관문으로서 해상물류의 중심지이며, 인도양의 보석, 실론 티로 유명한 섬나라 국가다. 1948년 독립 이후 26년간 긴 내전 종식 후 연평균 6%대의 높은 경제성장을 실현하며 불교와 힌두, 이슬람 기독교 등 다양한 문화가 어울러진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을 보유한 농업국가이다. 2022년 스리랑카는 코로나 등 국내외적 이유로 국가부도 디폴트를 선언했으나 현재 새마을운동, 지속적인 재정 제도개혁 등 국가혁신을 통해 안정을 되찾았다. 디네
법왕청신문 김지은 기자 | 불가에서 보기드문 괴짜 스님 이 76세에 박사학위 2개를 받아 장안의 화제가 되고있다. 진관스님은 방송통신대에서 2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님의 신문이긴 하지만 "나이 든 사람들은 탑골공원 가서 장기 두며 시간을 보내는 대신 공부를 소일거리로 삼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피력했다. 지난달 방송통신대 국문과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 진관스님은 76세의 적지 않은 나이에 또 졸업장을 받은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 그는 "대학도 졸업하고 사회 활동을 하다 정년 퇴임한 할아버지들이 (탑골공원에) 많이 온다. 거기 앉아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보면 매우 안타깝다"며 노년에도 배움을 지속하는 삶을 제안했다. 진관스님은 "노인복지와 관련된 것도 있고 여러 가지 학과가 있다. 학비도 그리 비싸지 않고 컴퓨터만 조금 사용할 줄 알면 수업받기 쉽다"며 참여를 독려했다. 진관스님은 1980년대에 민주화를 위해 행동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1987년 박종철 열사 치사 사건에 항거하다 석 달가량 구속됐다.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호헌 방침 철회를 요구하며 서명했고 1989년에는 이철규 열사 사망 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면 단식하기도 했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다가오는 2024년은 예측 가능한 감사환경을 구축하고, 적극행정을 장려하여 조직 문화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는 신년 업무방침에 대해 12월 28일 밝혔다. 외교저널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는 “제가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로 부임한지 5개월이 지났으며, 각 사업본부별로 업무보고를 통해 공단의 사업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으며, 경영 측면에서 감사의 역할이 견제가 아닌 지원자로써 사업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감사 철학과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라고 언급했다. 하, 상임감사는, “얼마 전, 한국 감사인대회에 참여하여 감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환의 흐름을 살펴보고, 중장기 감사 전략이 수립됨에 따라 앞으로의 감사방향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였습니다. “따라서, 다가오는 2024년은 예측 가능한 감사환경을 구축하고, 적극행정을 장려하여 조직 문화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하형주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와의 인터뷰 일문 일답이다. 문: 국민체육진흥공단 상임감사에 취임하시게 된 것을 축하드립니다. 취임소감에 대해 간략히 말씀 부탁드립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그리고 700만 재외동포 여러분, 푸른 용의 해,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2024년 새해, 국민 여러분께서는 어떤 소망을 품고 첫 아침을 맞으셨습니까? 바라시는 소망은 다 다르겠지만, 작년보다 나은 새해를 꿈꾸는 마음은 모두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저와 정부도 다르지 않습니다. 새해에 우리 국민 모두의 삶이 더 나아지고,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해 뛸 것입니다. 돌아보면, 지난해는 무척 힘들고 어려운 1년이었습니다. 나라 안팎의 경제 환경이 어려웠고, 지정학적 갈등도 계속됐습니다. 고금리, 고물가, 고유가가 우리 경제의 회복 속도를 늦추면서, 민생의 어려움도 컸습니다. 국민 여러분, 얼마나 힘드셨습니까? 민생 현장에서 국민 여러분을 뵙고,고충을 직접 보고 들을 때마다,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습니다. 민생을 보살피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지만, 늘 부족하고 송구스러운 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힘든 상황 속에서도 우리 국민 여러분께서는 더욱 힘을 내주셨습니다. 지난 한 해, 대부분의 국가들이 높은 물가와 경기 퇴조의 ‘스테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Diplomacy Journal | Kang mi Seon Chungju High School( P r i n c i p a l Ho n g Seung-hyun) invited Daejeon Police Agency Commissioner Jeong Yong-Geun (the 39th graduate of Chungju High School) on the 13th and said, "To live a better life?" at the 2023 freshman orientation. This special lecture focused on 209 prospective first-year students at Chungju High School with three contents for about an hour, namely passion, sincerity, and endurance." The lecturer, Chung, gave also introduced his personal experience that encompassed wisdom in life, the opportunity to live and learn in high school,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