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마지막회 25. 붕새의 뒤를 이은 담화 일붕 초대법왕께서 열반한 이후 비설실장을 지낸 담화총사는 그동안 일붕 큰스님의 유언에 따라 UN을 무대로 활동하다 1997년 3월 영문 UN News 대표이사로서 활동해 오다 2005년 영문판 외교저널(Diplomacy Journal)발행인 겸 대표이사, 불교계 최초로 일간지 경기매일신문사를 운영하며 회장으로 선임되어 활동해 왔으며, 현재 법왕청 신문 1992년 창간 초대 발행인 일붕존자 예하께서 운영해 오던 법왕청 신문을 새롭게 단장하여 2023년 1. 19일 오전 11시에 새롭게 단장하여 홈페이지를 개방한다. 담화는 일붕 큰스님의 뒤를 이어 비영리법인 세계불교법왕청 평화재단을 운영해오다 일붕 큰스님의 국제적인 업무를 담당한 경력을 무대로 1992년 미국정부로부터 사단법인 세계불교법왕청평화재단을 허가받아 활동해 왔으며, 그동안 미국, 스리랑카, 태국, 브라질, 대만, 중국, 일본, 우루과이, 필리핀, 아랍에미레이트 등을 비롯하여 1996년 8월부터 70여회의 해외 출장과 국제교류를 활성화 하고 법왕청의 발전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4. 법왕청 설립취지 본 재단의 본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두고 각국의 본부를 설치 운영한다. (재)법왕청평화재단(Supreme Tathagata Followers Peace Foundation, (財)法王廳平和財團은 평화롭게 살기위한 인간의 능력 개발과 석가세존의 해명아래 진리와 대자대비 사상을 바탕으로 憲章헌장을 준수하며 세계인류 평화와 세계불교홍법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서는 찬란하였던 세계불교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후손들에게 전수하고 영구히 보존하여 세계불교사에 기리 남기고 세계인들이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협력으로 세계불교도간의 친선교류는 물론 유대를 도모하여 불교중흥과 중생제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법왕은 불교 전통을 유지보존하며 헌장의 목적에 위배된다고 생각되는 어떠한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 2. 법왕은 학식과 세계평화를 위해 봉사하고 자비와 수도를 통한 덕행으로 고위직에 오른 고승 대덕이어야 한다. 3. 법왕은 60세 이상으로서 고위서품을 받은 지 30년이 지나야 한다. 회원 : 1. 본 조직의 회원 자격은 모든 종교인 즉, 그의 활동, 지위, 직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3. 불교계의 큰 별 붕새의 원적 세계불교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큰스님이 불기2540년(1996년)6월 25일 오전 11시 40분 서울 종로구 신영동 93번지 세계불교 초대법왕 주석처에서 세수 83세 법납 64세로 입적, 원적에 드셨다. 세계불교법왕청 22개 회원국 대표와 함께 동국대 운동장에서 영결식을 거행하였고 전 조계종 총무원장 월주스님, 권익현 의원과 송석구 동국대 총장의 조사가 이어졌다. 영결식을 마치고 일붕큰스님의 법구는 1천 오백여 만장을 앞세우고 의령 일붕사(일붕법왕총본산)에 도착하여 많은 스님들과 신도들이 오열하는 가운데 노제 법의식이 진행됐으며 저녁 7시부터 법구를 연화대로 옮겨 1만 5천명의 참배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종도 스님들의 거화로 다비식이 진행됐다. 7월 3일 사리 습골 결과 영공 큰스님, 봉주 큰스님, 경우 큰스님의 증명으로 편골 사리 16과, 두정골 사리 6과, 비취색 영롱한 두발사리 15과, 치아사리 9과, 점사리 5과, 주홍사리 7과, 뇌수사리 9과, 쇄사리 6과, 미색사리 1과, 대소오색 영롱한 사리 9과 등 총 83과와 덩어리 사리 등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2. 독창적인 선서화 수십 년 동안 선과 함께 살아왔고 참선의 경지를 즐기고 음미하고 미소하면서 지내온 것이 생활의 전부인 스님의 선필선화는 이름 그대로 큰스님의 사상을 펼친 한국고승「선서화」로서 동양의 명필들의 글씨를 능가할 만한 대명필이며 이미 널리 알려진 세계적인 명필이시다. 7세 때부터 왕의지의 습작으로부터 시작하여 추사체를 16년간 연마한 끝에 선을 통하여 독창적인 힘을 체득한 선서화는 불교예술의 새로운 창조로서 지대한 업적을 쌓았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석학 일붕 서경보 큰스님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명문대학으로부터 박사학위만 126개를 취득함으로써 그의 고귀한 인격을 소유하고 계시며, 또한 저서만도 세계 어느 곳에서 찾아볼 수 없는 1026종을 저술하였으며, 남북평화통일을 기원하는 시비가 전국 도처에 767개가 건립하셨으며, 세계방방 곳곳에 6,000여명의 일붕 문도 및 제자를 두고 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민법 제32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비영리 공익법인과(소속종교단체 포함) 종교단체기부금 세액공제에서 불교 49제, 천도제가 세액공제가 된다. 종교단체기부액도 세금환급항목인 기부공제대상에 들어가며, 홈텍스로 기부금명세서를 제출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가 일반인이 사찰에 49재 등을 위해 낸 돈은 지정기부금이라는 유권해석을 내렸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국세청장 질의에 이같이 회신(소득세제과-71)했다. 기재부는 공문에서 “거주자가 49재 등을 위해 종교의 보급, 그 밖에 교화를 목적으로 민법 제32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비영리법인(소속단체 포함)에게 지출하고 해당 비영리법인이 고유목적 사업비로 지출하는 금액은 소득세법 제34조에 따른 지정기부금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 1월 1일 이후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 신고 또는 연말정산 하는 부분부터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일반인이 민법 제32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 설립한 공익 비영리법인(소속단체 포함)에 49제 등으로 지출한 돈은 기부금영수증을 받으면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세계불교법왕청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오도송" 오도송悟道頌 蛇化鄧龍一角生 사화등용일각생 뱀이 화하여서 용이 되어 뿔이 하나 솟으니, 松潭風雨萬人驚 송담풍우만인경 송담에는 풍우가 크게 일어나 만인이 놀랐다. 南城春至魔雲盡 남성춘지마운진 남녘 성에는 새봄이 오니 마운이 다 사라지고 北領夜來禪月明 북령야래선월명 북쪽 고개 위엔 밤이 되니 선월이 밝아 오는구나.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경모음 천수대비주千手大悲呪108독-영인스님 천주대비주란 천개의 손과 천개의 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무착사 해봉스님의 오늘의 사색 이 땅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 중에 사람만 웃고 살아간다. 웃음은 곧 행복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요즘 사람들은 웃음이 부족하다고 한다. 그러나 좀더 넉넉한 마음을 가지고 힘차게 웃을수 있다면 모든 일에도 능률이 오를 것어다. 유쾌한 웃음은 어느나라를 막론하고 건강과 행복의 상징이라고 한다. 여섯살난 아이는 하루에 삼백번 웃고 정상적인 성인은 하루에 겨우 열일곱번 웃는다고 한다. 바로 체면을 차리려고 하기 때문이다. 유쾌한 웃음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다. 웃음은 좋은 화장이다. 웃음보다 우리의 얼굴 모습을 밝게 해주는 화장품은 없다. 그리고 웃음은 생리적으로도 피를 잘 순화시켜주니 소화도 잘되고 혈액순환도 물론 잘된다. 우리의 삶은 짧고도 짧다. 웃을수 있는 여유가 있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다. 남에게 웃음을 주는 사람은 자신은 물론 남도 행복하게 해주는 사람이다. 신나게 웃을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으면 더 좋을것이다. 하지만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 승소 -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무착사 해봉스님의 오늘의 사색 까마귀오烏, 날비飛, 토끼토兎, 달릴주走, 옛사람들은 태양 속에는 삼족오가 살고. 달에는 옥토끼가 방아를 찧는다고 생각했다. 오비토주 烏飛兎走는 직역으로 하면 '까마귀 날고, 토끼는 달린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까마귀 해. 토끼는 달을 상징하며.해가 뜨고 달이 지는것을 의미한다. 해가 뜨고 달이 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세월의 흐름 이요. 이것이 까마귀가 날고 토끼가 달리듯이 빠르다고 하여 오비토주烏飛兎走라 했고. 그 반대로 해가 지고 달이 돋는 것을 토기오침兎起烏沈이라 하게 되었다고 한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한낮의 이글거리는 태양이 아무리 사나워도 하루를 못가 달빛에 자리를 내줘야 하는 것이 자연의 섭리다. 인간사도 그러할 것이다. 흥성하면 쇠퇴하고 쇠한것도 다시 흥할수 있는 것이 세상사다. 그것도 생각보다 빨리 순식간에 전혀 다른 세상이 되면 있을수 있다.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이치가 바로 그것인지도 모른다. 권력을 잡으면 영원히 유지할수 있을것 같고. 재물을 가지면 자손만대를 누릴것 같지만. 그렇지 않은 것이 인간세상의 원리다. 세속에는 '있을때 잘해' 라는 말이 있다. 이말은 있을 때에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무착사 해봉스님의 오늘의 사색 살면서 하면 안되는 일중에 하나가 걱정을 가불하는 일이다.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내일 일을 오늘 앞당겨 걱정하는 일. 내일을 걱정하지 마라. 참 좋은 글이죠? 우린 늘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며 살아갑니다. 그런 다음 지나고 나면 아무일도 없고 별일도 아닌게 되지요. 그 걱정했던 일은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을 실감하게 되죠. 그래요. 모두 지나가던군요. 최악의 경제상황 때문에 사무실을 어떻게 꾸려 갈까. 미리 걱정을 가불하기도 했지만 지나고보면 참 어려웠던 시기였는데 별일없이 운영하게 되었고요. 그래요. 우리 미리 걱정을 가불하지 말아요. 그보다 좋은 것들을 가불해서 쓰면 어떨까요? 행복.미소.사랑.배려.즐거움. 꿈.희망.음악.. 생각만 해도 기분 좋은 것들만 우리 가불해서 써요. 좋은거 가불했다고 갚으라 하는 사람 없잖아요. 그보다 더많은 에너지를 주지 않을까요? 우리 좋은 것들만 가불해서 쓰자고요. 네네.. 꼭 그러자고요. ㅡ승소ㅡ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친필휘호 지상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경모음]천지팔양신주경 영인스님 온갖 재앙이 소멸되고 온갖 재복이 들어오는 불경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경모음]신묘장구대다라니 영인스님 자식을 위한기도 매일기도하시면 소원은 이루어진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1. 한 민족 시대를 꿈꾸며 일붕 스님은 다가오는 21세기가 한민족이 세계사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시대가 된다고 믿는다. 씩씩하고 건강하게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눈빛이 아름답게 빛나고, 저마다의 가슴속에 큰 꿈과 큰 뜻을 키워나간다고 여기는 것이다. 하나에서 열까지 모든 것을 스스로의 힘으로 이룬 일붕 스님은 어린이들에게 그 어떤 어려움과 고통이 닥쳐 오더라도 '꿈과 희망과 용기를 갖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꿈과 희망과 용기만 있다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고, 가난을 슬퍼하지 않아도 되고, 불행을 이겨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붕 스님은 이 나라의 어린이들에게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도운다'는 진리를 성공으로 보여 주었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하늘과 바다만이 보이는 좁은 땅 제주에서 태어나 20세기 세계 최고의 인물이 된 일붕 스님이 살아온 발자취는 한 편의 웅장한 대서사시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일붕 스님은 개인의 영광을 민족과 국가에 되돌려 '찬란한 한민족 시대'을 열겠다는 꿈을 하나하나 키우고 있다. 일붕법왕장학재단을 만드는 것이 그 첫 걸음인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초대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의 일대기 세계일화 저자 담화총사 20. 영원한 외교관 붕새처럼 '세계를 가슴에 안고' 오대양 육대주 지구촌 곳곳을 날아다니는 일붕 스님의 업적 중 가장 빛나는 것의 하나가 민간외교다. 김포 국제공항이 없어 여의도 비행장을 이용하던 60년대에 이미 동남아 각국과 유럽 주요 대학의 교수를 지내면서부터 시작된 민간외교야말로 일붕 스님이 '국보적인 인물'임을 느끼게 한 일이다. 70년대 초 일붕 스님이 세번때의 미국 순방에 나섰을 때는 미국 전역에서 600명 이상의 제자들이 한국불교를 포교하고 있었다. 일붕 스님과 제자들이 세운 절만 해도 펜실바니아주 이스톤시 혜능사와 월나크리크시 조계종선당을 중심으로 40여 개이상이 세워진 상태였다. 이들 절에서는 선에 들어가고 마칠 때 한국말로 시작하고 끝냈다. 세번째 순방에서는 1,2차에서 뿌린 한국불교의 씨앗이 자라 열매를 맺고 있었다. 일붕 스님이 기대한 것 이상의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한국식 불명을 받은 사람은 샌프란시스코 컴퓨터 기술자 캘로그 씨, 펜실베니아주 보마 씨, 캘리포니아주 스테판 캘로그 씨 등이 있었고, 큰 환영행사로는 레드유시, 버클리시, 필라델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