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영문 외교저널 8월호 JPG로 전체보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연꽃이 피던 날 조계사의 아침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담화선창曇華禪窓 “어둠 속의 빛” 깊은 밤, 차가운 바람 속에 홀로 서있던 날들, 희망의 불씨는 꺼져가고 어둠은 나를 삼키려 했네. 하지만 그 어둠 속에서 나는 내 안의 빛을 찾았네. 고난의 파도는 나를 흔들었지만 결국 내 마음을 강하게 했네. 눈물로 적신 길 위에 새싹이 돋아나듯, 절망의 끝에서 나는 새로운 희망을 피워냈네. 역경 속에서 배운 것들, 그 모든 아픔은 나를 더 빛나게 했고, 그 빛은 나를 행복으로 인도했네. 이제 나는 알았네, 고난은 끝이 아니란 것을, 행복은 언제나 우리를 기다리고 그 뒤엔 더 큰 기쁨이 있다는 것을. 그러니, 친구여, 절망하지 말고 견뎌내라. 어둠 속에서 빛을 찾고, 고난 뒤에 오는 행복을 맞이하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발바닥에 닿는 대지의 촉감, 매일 다른 길 위의 이야기. 튼튼한 발은 나를 지탱하고, 긍정의 생각은 마음을 채운다. 고로 걷자, 오늘도. 길 위에 펼쳐진 무한한 가능성, 하늘 아래, 나무 사이로 스며드는 햇빛. 걷는 걸음마다 새로운 세상, 긍정의 힘은 발끝에서 솟아난다. 튼튼한 발이 있기에,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긍정의 생각이 피어나는 순간, 고로 걷자, 내일도. 발길 닿는 곳마다, 행복이 깃드는 여정. 걷는다는 건, 삶의 춤을 추는 것, 그 발걸음마다 희망이 솟는다. 고로 걷자, 튼튼한 발로, 긍정의 생각으로, 내일을 향해, 미래를 향해... 청계천에서...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먼저 사량복탁思量卜度은 생각하고 판단하며 계산하는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의 일상적인 사고방식과 관련이 있으며, 불교에서는 이러한 사량심思量心을 넘어서 진정한 깨달음에 이르도록 가르칩니다. 이 법문에서는 사량복탁의 의미와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영상으로 보기 오늘은 "사량복탁"이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의 마음 상태와 그것을 넘어서기 위한 불교의 가르침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사량복탁은 우리가 생각하고 판단하며 계산하는 마음 상태를 가리키며, 이는 우리를 진리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음 상태를 인식하고 극복함으로써 우리는 더 깊은 깨달음과 평화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사량복탁의 의미 사량복탁은 '생각하다'라는 뜻의 사량(思量)과 '계산하다'라는 뜻의 복탁(卜度)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끊임없이 생각하고 판단하며 계산하는 마음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태는 우리의 본래 마음을 흐리게 하고, 진정한 깨달음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2. 사량복탁의 문제점 우리가 끊임없이 생각하고 판단하며 계산할 때, 우리는 현재의 순간을 온전히 경험하지 못하게 됩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영문 외교저널 7월호 발간 책자 JPG로 전체보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시방세계十方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모든 방향과 모든 세계를 포괄하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방세계는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동남東南, 서남西南, 동북東北, 서북西北, 상上, 하下의 열 가지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불교의 포괄적인 우주관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시방세계의 개념을 통해 불교는 모든 존재와 세계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가르칩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오늘은 ‘복혜양족존福慧兩足尊’이라는 깊은 법문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불교의 중요한 교리 중 하나로, 복과 지혜의 완전한 조화를 이루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복혜양족존’은 우리가 신앙의 길을 걸으며 추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와 목표를 제시합니다. 영상출처-본지 자매 유튜브 불교연합방송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깊은 산속 초암앞에 흐르는 시냇물, 지저귀는 종달새의 노랫소리. 바람 따라 춤추는 나뭇잎, 고요한 숲의 아침이여. 이곳은 세상의 소란을 멀리한, 평온한 자연의 안식처. 맑은 물결이 속삭이는 이야기, 푸른 하늘 아래 펼쳐지는 꿈. 종달새는 자유로이 날고, 시냇물은 부드럽게 흘러가며, 우리의 마음도 함께 떠오르네, 자연의 품 안에서 다시 태어나리. 초록의 향기 가득한 이곳, 행복의 순간이 영원히 머물길. 깊은 산속 초암앞에, 고요한 아름다움이여, 영원하라.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연꽃은 정말 특별한 꽃이죠. 그 자체로도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아름다움이 마음에 안정을 주고 평화를 불러일으킨다. 연꽃은 또한 많은 문화와 종교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그 순수함과 고결함 때문이다. 연꽃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진: 연못이나 강가에서 피어나는 연꽃을 찍은 사진은 보는 사람에게 큰 위로를 가져다 준다. 사진을 찍어서 공유하면 그 순간의 평화로움을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다. 그림: 연꽃을 주제로 한 그림이나 일러스트레이션도 연꽃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다. 그림 속 연꽃은 실제보다 더욱 이상적이고,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시: 연꽃의 아름다움과 그 의미를 시로 표현하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다. 시는 감정과 느낌을 더 깊이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연꽃의 매력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다. 정원: 연꽃을 키울 수 있는 연못이나 수조를 정원에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직접 연꽃을 돌보며 그 아름다움을 즐기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연꽃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그것이 주는 마음의 안정을 누리며 많은 이들과 그 기쁨을 나눌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악업에는 반드시 벌이 있다. 그것은 하늘이 내리는 벌이 아니고 자신이 만든 벌이다. 그 옛날 인도가 두 임금에 의해서 통치되었던 때가 있었다. 한나라의 왕은 14일에 태어났으므로 월 이라고 불렀고, 한나라의 왕은 15일에 태어났으므로 월익 이라고 불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 두 왕은 슈라타라고 하는 강을 경계로 하여 각기 그 강변에 사방 2천의 성을 갖고 백성도 많으며 토지는 기름져 나라가 번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두 임금은 서로 친하여 싸움도 없이 태평하게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두 왕은 “만약 두 왕 중에서 어느 쪽이 왕자를 낳고 어느 쪽인가 공주를 낳으면 서로 혼인시켜 서로 사돈을 맺읍시다.” 고 언약했다. 월익왕은 강의 이름과 같은 슈라타 라고 하는 동서 12유순(十二由旬), 남북 7유순(七由旬)의 도성에서 살고 있었다. 그에게는 왕자도 왕녀도 태어나지 않으므로 마음이 아파서 모든 신들에게 아이를 낳게 해 주십사고 빌게 했다. 그 때 이를 지켜보던 슈라타강의 신이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슈라타강의 변두리에 오신통(五神通)을 가진 선인이 살고 있다. 이 선인을 만나서 왕의 집에 다시 태어나게 해달라고 부탁하면 왕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한 여름의 더위가 한창인 어느 날, 산속 깊은 곳에 자리한 작은 사찰, 담화선창에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왔다. 그곳엔 푸른 물이 흐르는 계곡이 있었고, 물소리는 조용히 마음을 달래주었다. 계곡을 따라 천천히 걸으면 물은 바위 돌을 부드럽게 깎아내며 맑은 소리를 냈다. 그 돌은 세월의 흐름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고, 물이 만든 자국은 자연의 예술품 같았다. 하늘을 올려다보면, 흰 구름이 천천히 움직이며 하늘에 그림을 그렸다. 구름은 바람을 타고 형체를 바꾸며 끝없는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어느새 구름은 용이 되어 하늘을 날고, 산봉우리를 감싸 안았다. 이 모든 풍경을 바라보며, 선사는 차를 한 모금 마셨다. 그는 자연의 변화를 통해 인생의 이치를 깨달았다. 물처럼 부드럽고 유연하게 살아가고, 구름처럼 자유롭게 떠다니며 순간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 그날의 경험은 선사에게 큰 깨달음을 주었고, 그는 그 마음을 담아 하루하루를 더욱 감사하며 살기로 했다. 계곡의 물소리와 구름의 움직임은 언제나 그에게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주었다. 푸른 물 흘러 흘러 바위 돌을 갈아내고, 흰 구름은 바람 따라 하늘에 그림을 그리는 구나!로 끝을 맺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고요한 산속 이슬 머금은 아침, 새들의 노래는 바람 따라 흐르고, 맑은 시냇물 소리, 산골짜기에서 들리네. 푸르른 숲길 따라 걷노라면, 햇살은 나무 사이로 비추고, 향긋한 풀 내음이 가슴 속까지 스며드네. 바위에 앉아 잠시 쉬어가며, 자연의 벗과 함께 숨을 고르네. 이 평화로운 풍경 속에서, 마음은 한가롭고, 봄의 향기, 여름의 열기, 가을의 색, 겨울의 고요, 사계절이 펼치는 본지풍광 속에서, 시 한 구절 떠올리니, 자연은 나의 벗이라. 마음 속 시 한 수 적어내리니, 자연과 하나 되어, 본지풍광에 이르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무병의 발길따라 바다가 펼쳐지고 병든 마음 씻어내니 평화가 오네! 徳으로 가는 길, 무병은 덕이요 長壽의 축복은 福으로 다가오네 살아가는 길에 얽매인 걱정들 벗어나니 산천이 더욱 푸르러 徳으로 마음 닦아 무병을 얻고 福으로 삶을 누려 장수를 이루네 오늘도 맑은 하늘 아래 서서 덕을 쌓아 무병의 길 걷고 福이 가득한 장수의 삶을 감사한 마음으로 누리네!
법왕청신문 이정하 기자 | 오늘은 삼보三寶의 공덕과 불교의 삼보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삼보란 불교에서 가장 귀중하게 여기는 세 가지 보물을 뜻한다. 이 세 가지는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이다. 삼보는 불교 신앙의 중심이자, 불교 수행의 기반이다. 삼보의 공덕을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은 우리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준다. 1. 불보佛寶의 공덕 불보는 부처님을 뜻합니다. 부처님은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구제하신 분이다. 불보의 공덕은 다음과 같다. 깨달음의 상징 : 부처님은 깨달음을 통해 진리를 깨우치신 분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름으로써 우리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자비의 화신 :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위한 대자대비의 마음을 가지신 분입니다. 부처님의 자비를 본받아 우리도 자비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다. 올바른 길의 안내자 : 부처님은 우리가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가르침을 주신 분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름으로써 우리는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다. 2. 법보法寶의 공덕 법보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뜻한다. 이 가르침은 우리가 진리를 깨닫고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법보의 공덕은 다음과 같다. 진리의 깨달음 : 부처님의 가르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