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1970년, 법랍 39세, 세수 57세가 되는 경술(庚戌)년 국내에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 신민당 대통령 후보에 김대중 지명, 박정희 대통령 남북통일에 관한 8.15선언, 전태일 분신자살, 마포 와우아파트 붕괴, 한강 변에서 정인숙 여인 피살, 한글학자 최현배사망, 光州경찰서 미니스커트 착용자 8명 즉심 회부 등이 발생했다. 불교계에서는 문공부가 대처승단인 한국 태고종단 등록을 인정한(5.9) 일이 생겼으며, 세계불교 지도자대회가 서울에서 열려(10.10-16) 21개국 대표 76명이 참가했다. 국제적으로는 영국 버트런트 럿셀 사망, 중국 첫 인공위성 발사, 프레이저가 알리를 이겨 헤비급 챔피언 획득, 인도네시아 수카르노 前 대통령 타계, 로마교황청 재산공개, 낫세르 통일아랍 대통령 타계, 프랑스 드골 전 대통령 타계, 닉슨 유고 티토와 정상회담 등이 있었다. 유달리 전직 원수들이 많이 사망한 해였고 '여성 상위시대'라는 유행어가 나돌고 '검은 고양이 네로'란 유행가가 골목마다 울려 퍼진 70년대의 첫 해였다. 겨울방학을 맞이했음에도 더욱 바빠진 일붕은 전국을 돌며 세미나와 강연을 했다. 1월 11일 오전 10시 30분, 동국대 비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타가 구사라국의 설산 속에 계실 때의 일이다. 설산雪山은 히마빈드로 지금의 히말라야 산을 가르킨 말이다. 불타는 설산의 깊은 숲 속에 앉아 명상에 잠겼다. 그리고 불타가 한참 깊은 명상에 빠졌을 때, “정치政治를 죽이는 일도 죽여지는 일도 없이,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일도 없이, 슬퍼하거나 슬퍼지게도 하지 않는 진실한 도리의 길은 없을까” 그리고 곧 이어 마음속에서 또 이런 생각이 고개를 쳐들고 스쳐갔다. “불타여, 당신이 정치를 하면 죽이는 일이나 죽여지는 일이 없을 것이며,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일도 없을 것이며, 슬퍼하거나 슬퍼지게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악마(惡魔) 즉 바른 생각을 방해하는 악마의 생각이 꼬리를 쳤다. 이 때 불타는 이렇게 말했다. “악마여, 그럼 내가 무엇으로 정치를 할 수 있단 말인가?” 악마에게 속삭였다. 악마도 불타에게 “당신은 충분히 해 낼 수 있으며 당신이 아니면 아무도 그런 일은 해낼 수 없습니다.” 고 욕망에 부채질을 했다. 그러면서 불타에게 “당신은 마음만 먹는다면 흰 눈이 덮인 저 히말라야 산을 황금으로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고 불타를 유혹했다. 불타도 한마디로 이렇게 말했다. “저 히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시는 "끈기와 희망을 품고 나아가면 결국 모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불정사 사찰에 신도들이 이 시를 보며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나무에 새겨 환구단圜丘壇 주변에 글귀로 남겨두고자 함이다. 愚翁大志不可量 우옹대지불가량 우공의 큰 뜻은 헤아릴 수 없고, 千年巨石亦可降 천년거석역가강 천 년 묵은 거대한 바위도 옮길 수 있으니라. 心懷夢想路必開 심회몽상로필개 마음에 꿈을 품으면 길은 반드시 열리고, 苦行不止福自訪 고행부지복자방 고행을 멈추지 않으면 복이 스스로 찾아오리라. 雲散風和晴日照 운산풍화청일조 구름 걷히고 바람 고요하니 맑은 해가 비추고, 山前松柏亦生光 산전송백역생광 산 앞의 소나무와 잣나무도 빛을 발하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대한민국 최고의 미디어 불교컨텐츠 채널 목표, 우리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힐링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불교연합방송은 법왕청 신문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불자 및 일반인 대상으로 어렵고 생경生硬하게 느껴지던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본 채널은 불교다운 불교 신심나는 불교 존경받는 불교를 구현하겠습니다. 사부 대중이 꿈꾸면 불교가 달라집니다. 본 채널은 청청승가의 진면목과 수행가풍을 진작시켜 우리불교의 저력을 시방세계에 두루 나투도록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당신과 함께 역사를 쓰고 싶습니다. 당신과 함께 미래를 만들고 싶습니다. 씨앗을 뿌리고 가치를 키우고 함께 성장을 위한 성장의 역사를 만들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대한민국 최고의 미디어 불교컨텐츠 채널 목표 우리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주는 힐링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불교연합방송 불자 및 일반인 대상으로 어렵고 생경生硬하게 느껴지던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본 채널은 불교다운 불교 신심나는 불교 존경받는 불교를 구현하겠습니다. 사부 대중이 꿈꾸면 불교가 달라집니다. 본 채널은 청청승가의 진면목과 수행가풍을 진작시켜 우리불교의 저력을 시방세계에 두루 나투도록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당신과 함께 역사를 쓰고 싶습니다. 당신과 함께 미래를 만들고 싶습니다. 씨앗을 뿌리고 가치를 키우고 함께 성장을 위한 성장의 역사를 만들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 영상은 법왕청신문에서 운영하는 불교연합방송 입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政客정객의 權利권리 다툼에, 主人주인된 民민이 둘로 나뉘어, 寒風한풍 吹雪취설 맞으며, 밤낮 없이 거리에서 울부짖네. 贊찬과 反반은 나뉘었으나, 苦痛고통은 모두가 같으니, 차디찬 道路도로 위에서, 骨髓골수까지 寒氣한기가 스며드누나. 骨切골절인 冬寒동한의 바람 속에서, 誰수를 위함인가 묻노라, 이젠 그만 싸움 멈추고, 國泰民安국태민안을 이루어라. 겨울은 지나고 春來춘래할지니, 무너진 民心민심을 다독여, 國家국가의 主人주인이, 더 이상 哀嘆애탄치 않게 하라. 요즘 우리나라는 政治정치가 아니라! 政恥정치(부끄러울치)이다! 政治정치의常識상식이 五里霧中오리무중이다! 인왕산인 담화 적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청곡 이재삼작가의 지두화指頭畵와 수장화手掌畵는 전통적인 붓을 사용한 화법에서 벗어나, 손의 일부를 도구로 사용하는 독창적이고 파격적인 미술 양식이다. 이 두 화법은 전통적 기법을 넘어선 새로운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며, 손과 몸을 예술적 도구로 변형시킨 작품들이다. 손끝, 손톱, 손바닥, 팔꿈치 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이 두 기법은 그 자체로 예술적 혁신을 의미한다. 지두화指頭畵는 손끝으로 그린 예술작품 지두화는 손가락 끝이나 손톱에 먹을 묻혀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말한다. 전통적인 붓을 사용하지 않고 손의 일부를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독특한 텍스처와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손가락, 손톱 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며, 그 방법이 단순히 화구를 바꾸는 것을 넘어선 파격적인 미학적 실험으로 이어진다. 지두화의 가장 큰 특징은 붓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과의 차별화하고 있다. 붓을 이용한 묘사에서는 나타나기 어려운 손끝의 섬세한 감각과 질감이 그림에 고스란히 드러낸다. 이는 예술적 표현의 다양성을 더욱 확장시키며, 새로운 미적 언어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장화手掌畵는손바닥과 팔꿈치로 그린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曇華風月담화풍월 "동지 冬至" 冬至雪至嚴冬寒 동지설지엄동한 紅豆香氣入家安 홍두향기입가안 祈願歲歲康寧福 기원세세강녕복 和順百年子孫滿 화순백년자손만 동짓날 눈이 내려 엄동설한이 깊어지니, 붉은 팥죽 향기 집 안에 가득하도다. 해마다 평안과 복을 기원하며, 화목한 백년 속에 자손이 넘쳐나길 바랄뿐이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눈이 내려 숲을 덮네 고요한 바람이 나뭇가지에 속삭이는 밤 흰 이불을 두른 나무들 사이 겨울의 숨결이 스며들어 고요 속에서 들려오는 숨결의 이야기 순백의 시간은 멈춰서 자연의 노래를 흠뻑 담고 있네 그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순결한 겨울의 숲 그 안에 감춰진 은밀한 속삭임들이 별빛처럼 반짝이며. . . Words of Damhwa: Seolhae Woods Snow falls and covers the forest. A night where quiet wind whispers in the branches Between the trees covered in white blankets The breath of winter seeps in The story of the breath heard in the silence The pure white time has stopped It is soaked with the song of nature The woods of purity that no one can touch The secret whispers hidden within Trinkle like stars in the sky!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탄핵이 자주 일어나 산하가 흔들리고, 만백성이 근심하며 탄식하니 어찌 살아갈까. 政風紛亂苦民生 정풍분란고민생 權貴爭權國脈輕 권귀쟁권국맥경 彈劾頻來山河搖 탄핵빈래산하요 萬民愁嘆意何生 만민수탄의하생 願得正道還昌盛 원득정도환창성 和諧一統國基榮 화해일통국기영 정치의 바람은 어지러워 백성을 괴롭게 하고, 권세 높은 자들이 권력을 다투니 나라의 기틀이 가벼워진다. 탄핵이 자주 일어나 산하가 흔들리고, 만백성이 근심하며 탄식하니 어찌 살아갈까. 바른 길로 돌아가 다시 번영을 이루기를 바라며, 화합과 통일이 되어 나라의 기틀이 영화롭기를 희망한다. - 초암에서 담화적다. -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백 마리의 학이 소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며 천년의 바람을 타고 노래합니다. 그 속에 담긴 신선의 뜻은 무엇일까요? 소나무는 곧게 서서 천년을 살아가며, 변치 않는 마음으로 자연의 도리를 전합니다. 백학은 맑은 바람에 몸을 맡기고 무위의 삶을 찬미하듯 자유롭게 날아다닙니다. 이곳은 천지의 조화가 깃든 참된 선경입니다. 신선의 가르침은 화려한 언어가 아닌 자연의 고요와 조화 속에서 흐릅니다. 소나무의 묵묵한 자세와 백학의 고요한 날갯짓은 더없이 깊은 도를 보여줍니다. 귀 기울여 보십시오. 바람에 실려 오는 소리 없는 말씀을, 눈여겨 보십시오. 학과 소나무가 드러내는 도의 형상을, 여기, 만년의 선경에서 진리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삼장전인三藏全人은 불교 용어로, 경經, 율律, 논論의 삼장三藏을 완전히 갖춘 사람을 의미합니다. 삼장은 불교 경전의 세 가지 주요 분류를 나타내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장經藏, 부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경전으로, 수행과 깨달음을 위한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율장律藏, 승가僧伽의 규율과 계율에 대한 내용을 다룬 경전으로, 올바른 수행과 공동체 생활을 위한 규칙을 설명합니다. 논장論藏, 경과 율의 가르침을 해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논서입니다. 삼장전인은 이 세 가지를 모두 깊이 이해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사람으로, 학문적 깊이뿐만 아니라 수행과 도덕적 완성에서도 탁월한 인격을 갖춘 이상적인 불교도를 가리킵니다. 불교의 전통에서 삼장전인은 보통 삼장법사三藏法師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삼장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데 있어 권위 있는 스승으로 인정받는 이들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천상의 길을 걸어온 발자취, 삼장전인의 여정은 먼 길, 문을 열어 주시고 가르침을 나누며 진리의 구슬을 우리에게 남기셨네. 하늘과 땅을 관통한 지혜의 길, 슬픔과 기쁨의 속삭임 속에서 참된 가르침을 찾고, 세상의 고통을 이해하려 했던 그대. 책의 한 장,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글은 교령윤신敎令輪身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 지속적인 교화와 실천으로 백성을 이롭게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특히, 지도자는 말로만 머물지 않고 몸소 행동으로 모범을 보여야 하며, 그 영향력이 온 세상에 미쳐야 함을 강조했다. 이 글은 현대 사회에서의 리더십과 공동체를 위한 헌신의 가치를 제시하며, 초암에서 이 시대를 위한 가르침으로 적었다. 敎化四方道若輪 교화사방도약륜 교화가 사방에 펼쳐지니 길이 바퀴 같고, 令聲九地志同心 명령구지지동심 명령은 아홉 땅에 울려 퍼져 마음이 하나 되네. 輪轉不息傳大道 윤전불식전대도 바퀴는 멈추지 않고 대도를 전하며, 身行萬里濟蒼民 신행만리제창민 몸은 만리를 다니며 백성을 구제하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불정사에 솟아오르다, 우주를 품은 거대한 달. 그 안에 담긴 것은, 하늘의 뜻과 인류의 소망. 3.5미터의 넓은 품으로 4미터 높이의 숭고한 몸짓. 30톤의 무게마저 가벼이 떠받드는 신령의 힘. 삿된 것을 물리치고 평화를 꿈꾸는 이곳, 불정사의 품 안에서 우주는 인간과 조화를 이루네. 하늘은 말을 걸고, 대지는 축복을 보내며, 그 에너지는 흐르고 흘러 우리 마음의 佛 달을 밝히리. 지난 12월 1일, 청주에서 시작된 대작불사, 삶과 우주의 연결을 향한 첫 걸음. 전주행 KTX에서 적다. 2. 담화풍월曇華風月 "벽사초불정사의 미래" 담화 속에서 피어난 꽃, 달빛 아래 춤추는 바람의 노래. 벽사초불정사의 품은 우주, 영원히 머무는 평온의 별들이라. 환구단에 새겨진 마음의 기도, 영구위패엔 쉼 없이 흐르는 강물처럼 삶과 죽음이 하나 되어 불빛 아래 평화를 찾는다. 천 스님 붓끝의 숨결, K-민화 속 살아 숨 쉬는 한국의 혼. 우표의 기록, 시간의 흔적, 그곳엔 세월을 넘어선 빛이 머물다. 풍월이 깃든 이 공간에서 담화의 꿈을 품은 달이 되리라... 2024.12.9 서울행 KTX 안에서 적다.
법왕청신문 이존영 기자 | 이 글은 불교에서 말하는 공空의 개념과 함께 삶과 죽음, 그리고 집착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담은 내용이다. 세상은 그저 바람처럼 스쳐가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니, 모든 것은 한때의 환영이요, 본질은 결국 공空이라. 꽃이 피어나도 시들어 사라지듯, 마음의 욕망도 언젠가 잦아들리라. 물 흐르듯 흐르는 이 삶 속에서, 집착 없는 마음이 진리를 보리라. 너와 나, 그리고 만물은 하나요, 차별 없는 눈으로 보면 진리가 보이네. 삶과 죽음조차 허망한 꿈일 뿐, 본래의 자아는 이미 깨달음 속에 있네. 공空의 꽃 의미 - 불교적 공空 사상의 상징과 메시지 삶과 죽음의 진리 - 불교에서 바라본 생과 멸의 본질 집착 없는 삶의 지혜 -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르침 본래 자아와 깨달음 - 불교의 깨달음에 이르는 길과 자기 발견 공空 사상과 현대적 해석 - 전통 불교 사상의 현대적 응용과 통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