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날 제정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 등록 2025.04.23 09:14:21
크게보기

- 불교법왕청의 ‘세계불교평화의 날’ 선포를 되새기며

법왕청신문 김학영 기자 | 1994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린 제2회 세계불교법왕청 총회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세계불교평화의 날’로 제정한 사건은 단순한 선언을 넘어선, 불교가 세계 평화의 중심 철학이 될 수 있음을 알린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당시 한국의 일붕 서경보 스님과 스리랑카의 찬다난다 스님이 공동 법왕으로서 함께 선포한 이 결정은, 불교권 국가 간 연대의 첫 결실이자 동서 불교의 조화로운 통합의 상징이기도 했다. ‘우주는 하나, 세계는 한 가족’이라는 법어 속에는 종교의 경계를 넘어 모든 생명의 공존과 평화를 향한 불교의 다짐이 담겨 있었다.

 

이제 우리는 묻는다. 그 선언은 일회성 행사로 끝났는가? 아니다. 그날의 외침은 오늘도 되살아나고 있다.

 

세상은 여전히 전쟁과 분열, 갈등으로 신음하고 있다. 핵무기의 위협은 사라지지 않았고, 종교 간 충돌과 환경 파괴는 새로운 위기로 다가온다. 이럴 때일수록, 30여 년 전 선포된 ‘세계불교평화의 날’의 가치는 더욱 절실하다.

 

평화는 선언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계속 이어져야 한다. 실천과 전승으로 삶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불교는 침묵 속의 외침이다. 수행은 조용하지만 그 목적은 크다. 세상에 평화를, 마음엔 자비를 심는 일이 바로 그 목적이다.

 

 

세계불교법왕청의 선언은 여전히 살아 있다. 그날의 정신은 각국의 불교단체와 수행자, 신행자들의 마음 속에서 오늘도 되새겨지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다. 새로운 세대가 그 정신을 계승하고, 현대 사회의 언어로 다시 써 내려갈 것이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날의 선포가 단지 ‘기억’으로만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세계불교평화의 날’은 단지 하루의 기념일이 아니라, 인류의 마음에 새겨야 할 수행의 날이다.

 

불교의 평화는 침묵 속 자비로, 일상의 실천으로, 그리고 끝없는 이어짐으로 완성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시 말한다.

 

평화의 날 제정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재단법인 법왕청평화재단

                                                                   2대 법왕권한대행

                                                                      담화총사 이존영  

 

 

 

김학영 기자 12345hyk@naver.com
Copyright @법왕청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81, 1203호(수송동,두산위브파빌리온) 등록번호: 서울,다06888| 등록일 : 2003-03-14 | 1992년 최초 발행인 일붕 서경보 초대법왕 | 회장 재단법인 법왕청 평화재단 승정원장 일정 대종사 | 발행인 : 주식회사 담화미디어그룹 이존영 | 편집인 : 이존영 | 부사장 이정하 | 편집국장 이준석 | 전화번호 : 02-3417-1010 Copyright @법왕청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